-
-
아무것도 안 하는 녀석들 ㅣ 문지아이들 163
김려령 지음, 최민호 그림 / 문학과지성사 / 2020년 10월
평점 :
현성이도 장우도 정말 아무것도 하지 않았습니다.
아니 아무것도 못 했다는 표현이 정확하겠습니다.
아이들은 아무것도 할 수가 없었으니까요.
삼촌에게 사기를 당한 아빠 때문에, 집이 다 날아가고
언제 나가야 할지 모르는 임시로 잠깐 살던 비닐하우스가
버틸 때까지 버티어보는 하나뿐인 보금자리가 되어도,
그 일로 아빠가 집을 나가고 엄마와 둘이 사는 집이 되어도,
형편상 어느 학원도 다니지 못한 채 집에만 있게 되었어도
현성이는 어떤 일도 할 수가 없었습니다.
아빠가 새엄마와 결혼을 하고 아빠가 두집을 왔다 갔다 해도,
어느 날 갑자기 그 새엄마가 모든 짐을 들고 이사를 올 때에도,
새엄마가 동생을 임신을 하고 창고방을 치우고 아가방을 만들고
집을 정리한다며 장우의 물건들을 마구 버리며 정리를 해도
갑자기 새엄마와 둘이 있는 것이 불편하고 어색해지는데도
중학교에 갈 준비를 하느라 학원을 더 늘려 학원으로만 돌아도
장우는 그저 아무 일도 할 수가 없었습니다.
어른들이 만든 아픔을 아이들이 오롯이 겪어갑니다.
어른들의 이기심, 어른들의 세계에서 벌어진 일들로
아이들은 본인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다양한 불행과
힘든 상황을 맞이했는데 어느 하나 헤아려주는 이가 없네요.
아이들은 각각 다른 어려움에 복잡한 현실에 마주했지만,
그래도 덤덤히 맞이하려고 애씁니다.
좋은 점을 찾아보기도 합니다.
서로가 위로의 존재가 되고
불행 중에서 행복을 찾아내기도 하지요.
그래도 삼촌덕에 아지트가 생기긴했다고, 상상도 못했던 일이라고,
엄마가 와서 어색하지만 그래도 엄마덕에 노트북이 생겨서 좋다고
힘들고 어려운 상황에서도 작은 희망을 볼 줄 아는 아이들입니다.
어찌 보면 자존감에 상처가 될 수도 있는 힘든 상황들이었음에도
아이들은 좌절하거나 우울해하거나 현실을 피하지 않았습니다.
아이들은 아지트에서 영상을 하나 찍습니다. 정말 말 그대로
"아무것도 안 하는 녀석들"의 "아무것도 안 하는 영상" 이었죠.
그런데 이 영상이 큰 관심을 받고 폭발적인 조회 수를 기록합니다.
아무것도 안 하는 녀석들이었지만, 아이들 스스로 선택한 것.
바로 영상 업로드로 아이들은 작게나마 자신들의 선택을 한거죠.
늘 어른의 행동에 어느 하나 할 수 있는 게 없었던 아이들이었지만,
자신들의 세계에선 그렇지 않았던 것이죠.
미래는 알 수 없는 일이지만 누군가의 인정과 관심을 받으면서
아이들은 분명히 성장을 할 것입니다.
드디어 비닐하우스를 벗어나 작게나마 지하에 있는
우리 집으로 말이죠.
이 새로운 출발에 아빠를 향해 진심을 건네며 기회를 열어준 현성.
아빠는 다시 가족들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는 걸까요?
아이들은 영상을 통해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함으로써
아무것도 할 수 없던 아이들에서 자신의 삶을 향해 한걸음
더 앞으로 나아갔는데요.
아이들의 이 걸음이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궁금하네요.
희망적인 부분을 보았기에, 이어질 뒷부분이 더욱더 궁금해지네요.
가제본으로 받아본 " 아무것도 안 하는 녀석들 " 잘 읽었습니다.
현성이와 장우가 꾸려갈 미래는 책을 통해 만나보겠습니다.
.
.
.
위 리뷰는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직접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