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는 그대로의 글쓰기
니콜 굴로타 지음, 김후 옮김 / 안타레스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협찬

저는 요즘 글쓰기에 대해 많은 생각들을 해봅니다.
글을 쓰고 책을 내며 공식적으로 글을 짓는 분들을
작가라고 하지요.

저처럼 일상의 이야기를 적고,
소통하는 글을 적는 사람들은 어떤가요?

우리는 작가는 아니지만,
글을 적고 내 글을 다른 이에게 보인다는 것은
작가들과 비슷하지 않을까요?
자신의 생각을 글로 풀어내는 것은 같으니까요.

저는 언젠가 글을 짓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크고 멀고 막연한 꿈이 있었어요.
근데 그 일이 너무 거창하고 위대해 보여서
그동안 저랑은 관계없는 일로 느껴졌어요.

그런데 요즘 그런 생각이 들어요.
뭐 꼭 책을 내야만 작가가 되고,
글을 짓는 사람이 되는 건가?라는 생각이죠.

우리는 일상을 글로 적기도 하고,
책을 읽은 느낌을 적기도 해요.
친구와 있었던 일을 적기도 하고,
맛있게 먹은 음식 이야기도 적죠.

SNS라는 공간에 적고 있는 이런 모든 짧은 글들도
나 자신에게는 긴 고민과 생각을 통해
신중하게 태어난 나의 글이에요.

우리는 누구나 나의 인생을 글로 적어가는 작가예요.
이 글에서 주인공은 바로 나 자신이고 말이죠.
글쓰기는 그렇게 거창한 일이 아니랍니다.
.
.
.
이 책은 작가가 아이를 임신을 하고, 출산을 하며
아이가 인생의 큰 비중을 차지하기 시작하면서, 본인이
계속 글을 쓸 수 있을지 두려워하던 마음에서 시작됩니다.

어느 날, "작가의 삶도 계절로 이루어져 있지"라는
사실에서 희망을 느꼈고, 거창하지 않게, 본인의
계절과 생활방식에 맞는 글쓰기 방법을 실천하고,
육아와 글쓰기를 자연스럽게 병행하게 되었답니다.

이 모든 것이 순조롭게 돌아가게 되면 리듬이 생기며,
꼭 온전히 글쓰기에만 전념하지 않으면서도 충분히
부드럽게 나의 역할들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며 글을
써나갈 수 있다는 것을 알았죠.

작가의 계절은
시작의 계절, 의심의 계절, 기억의 계절, 불만의 계절,
돌봄의 계절, 양육의 계절, 문턱의 계절, 눈뜸의 계절,
피정의 계절, 완성의 계절로 이루어져 있다고 합니다.

이것이 바로 글쓰기의 삶에서 마주하는 10가지 계절입니다.

작가는 이야기합니다.
당신은 당신을 이루는 여러 자아를 분리할 필요가 없고,
삶의 의미를 가져다주는 다른 즐거움이나 책임을 위한 욕망과
당신의 창작욕을 애써 화해시킬 필요 없다고 말이죠.
오히려 그 모든 것이 뒤섞여 버리는 것을 권한답니다.

글쓰기, 가족, 일 등은 각기 분리된 요소가 아니라,
서로 도움을 주고 심지어 서로를 향상시켜주는
삶의 일부들이라고 말이라고 이야기하지요.

작가로서의 삶을 꿈꾸는 이들에게
이 책은 삶의 행복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보여주고 내면을 드러내라고 말이죠.

나를 굳이 분리하고 잘라내어 억지로 만들기보다는
나 자체의, 나 자신만의 고유한 목소리를 글로 표현하여
보는 이들로 하여금 더욱 내 글을 편안하게 느끼고
진정한 선물로서 느낄 수 있도록 하라고 말입니다.

글쓰기는 행복을 찾아가는 활동이기에,
그 자체로도 충분히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일이랍니다.

저처럼 글을 좀 더 잘 쓰고 싶어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정말 많은 깨달음을 안겨주게 되는 책인 것 같아요.

거창하게 사무실에 앉아 피나는 노력으로
대단한 글을 생산해야만 작가가 되는 것이 아니고,
내 삶 속에서 있는 그대로의 삶에서 빚어내는
나 자체가 오롯이 담긴 진정성 있는 글을 쓰면
좋은 작가가 된다는 것을 말이에요.

나의 작고 소박한 글도 어느 누군가에게
커다란 울림과 감동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느꼈답니다.
이제는 저에게 어떤 계절이 오더라도 두려워하지 않고,
각 계절 속에서 맞이하게 될 행복하고 소소한 글쓰기를
기쁜 마음으로 실천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