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1퍼센트의 결정적 도구 - 불완전한 세상에서 스스로 원하는 것을 얻은 사람들
신익수 지음 / 생각의길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협찬 #생각의길
#문학테라피 #상위1퍼센트의결정적도구 #신익수 지음
- 대한민국 최고들의 성공 도구는 무엇이 다를까?
.
.
시중에 #자기계발서 는 참 많다. 통찰력과 관한 책들도 많다.
이런 책은 차근차근 읽고 천천히 따라 하는 방식이 대부분이기에
깨달음을 얻기까지는 제법 오랜 시간이 걸리는 편이다.

하지만, 작가는 조금 다른 방법을 제시한다.
필요로 하는 순간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책을 만들었다.
작가님의 표현을 빌자면, '통찰력 3분 컵라면' 이란다.

부에도 추월차선이 있듯, 통찰력의 추월차선 드림팀을 모아
대한민국 20인의 대표 인생 멘토를 선정하고,
멘탈력의 엑기스를 뽑아 책으로 엮은 것이다.

열심히 차근차근 오랜 시간을 거쳐 정석대로 과정을 밟아
깨달음을 얻고 통찰력을 지니는 것은 아주 위대한 일이다.
하지만, 스펀지처럼 중요한 통찰력의 비법을 전수받는 것도
보다 도약할 수 있는 밑거름과 돋움판이 될 수 있지 않을까?

봉준호 감독, 과학자 정재승, 프로듀서 나영석, 가수BTS RM,
언론인 이어령, 강사 김미경, 스님 혜민, 소설가 김영하 등
각자의 자리에서 상위 1%가 된 멘토들의 다양한 통찰력을
들어볼 수 있는 책이었다. 그들이 왜 성공할 수밖에 없는지
성공의 비결이 무엇인지, 그들만의 생존법과 성공공식에 대해
엑기스만 쏙쏙 뽑아 들어볼 수 있었다.

많은 통찰력 멘토들 중에서 특히 기억에 남는
몇 가지만 소개해보겠다.

선택의 기로에서는 메멘토 모리 하라 - 정재승
: 과학자 정재승은 짧고작은 선택들을 우선 즐기라고 이야기한다.
결정 장애 세대라 부를 만큼 정보의 양이 방대한 요즘
시대의 사람들. 가정환경부터 선택의 경험이 적을 수밖에 없는
요즘의 시스템으로 선택의 경험은 점점 줄어들었다.

이에 선택 성취감을 반복해 훈련함으로써
선택에서 오는 만족감을 느끼라는 것이다.
이렇게 훈련을 하다 보면 결정적인 선택의 순간에도
불안감은 사라지고, 내공은 점점 다져진다.

메멘토 모리는 중요한 순간에 쓰인다.
3개월 뒤 내가 죽는다고 가정을 해보자.
이런 가정하에서 내가 선택을 하게 되면
더욱 효율적 선택을 한다는 것이다.
무기력감은 사라지고 실행에 옮길 수 있는
파워를 얻게 될 것이다.
.
.
진정한 자아 찾기 '페르소나'를 벗어라. - BTS RM
: 내가 바라는 내가 될 것인가,
남이 바라는 내가 될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사람들은 '내가 바라는 나'의 모습도 지니고 있지만,
다른 사람들의 바람과 의견대로 가면 화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남의 나'라는 것이다.

BTS의 페르소나라는 노래 가사처럼
갈수록 사람들은 나에게 바란다.
이것은 어린 시절부터 만들어진 것일 수도 있다.
'누군 달리라고 하고,누군 멈춰 서라 해.
얘는 숲을 보라고 걔는 들꽃을 보라 해 '라는 가사처럼
다른 사람들이 바라는 나의 모습은 각기 다르고 혼란스럽다.

그러나 RM은 이야기한다.
나의 나와 남의 나로 당신을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내가 되고 싶은 나'와 '사람들이 원하는 나' 도 있지만
'내가 빚어내는 나'도 있다는 것이다.

나는 아차 하는 마음이 들었다.
페르소나는 가짜 내가 아니니 나를 찾자가 아니고,
페르소나조차.내가 될 수 있다는 말이다.
이제 이 가면의 나를 마음대로 조작하는,
나의 부캐를 빚어나가는 과정에 보다 집중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
.
360명 모두 1등하는 법을 말씀하신 이어령 교수님의 글도 좋았다.
모두가 다른 방향으로, 다른 길로 달리면 모두가 1등이라는 것이다.
또, 이어령 교수님의 이야기를 듣고 나는 '베스트 원'이 되기보다는
나만의 길을 가는 '더 원'이 되고 싶어졌다.

이외에도 정말 너무 좋은 글들이 많아
다 소개하고 싶을 정도로 좋았다.
마치 에세이 10권을 읽어내린 듯한
충만감과 에너지를 얻은 기분이다.
스스로의 노력으로 불완전한 세상에서
스스로 원하는 것을 얻은 사람들.

지금은 멘토들의 노하우일지 모르나,
나만의 방법, 나에게 맞는 방법으로
내가 내 인생을 일구어 나간다면
나도 '더 원'이 될 수 있지 않을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