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는 습관이다 - 적당한 거리에서 행복한 인간관계를 만드는 태도
김진 지음 / SISO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변을 둘러보면 유독 사람들의 마음을 끌고 주위사람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는 사람이 있다. 이렇게 사람들을 끌어당기는 사람들은 스스로는 특별한 이유를 모르겠다고 이야기하곤 하지만, 신기하게도 그들만이 지닌, 뭔가 특별한, 다른 점이 있다. 별다른 노력을 하지 않는데도 그들 주변에 항상 사람들이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사람과 사람사이의 관계의 첫단추는 나로부터 시작된다. 누군가가 다가오기를 기다리기 보다 내가 먼저 마음을 보이는 일 부터가 진짜 시작이다. 내가 다른 사람의 마음을 얻고 싶다면 가만히 기다릴 것이 아니라, 먼저 진심이 보이는 행동과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사람들의 마음을 끄는 사람들은 이렇게 말보다는 진실된 마음의 행동으로 보여준다. 마음자세부터가 다른 것이다.

또한 그들은 좋은 마음이 잔뜩 드러나는 기분좋은 미소를 지니고 있고, 자신의 약점을 정확히 알고 자신의 강점으로 바꿀줄 알며, 뜨거운 마음을 가지고 자신보다 약한 사람을 흔쾌히 도울 줄 안다. 또 서로의 마음이 편안하게 닿을만한 거리에서, 불편하지 않은 관계로 적당한 거리를 유지할줄도 알고, 상대방이 부담스럽지 않고, 불편하지도 않은 관계를 잘 유지하는 편이다.

그들은 배려와 존중, 그리고 겸손을 가지고 있다. 욕심을 잠시 내려놓을 수 있고, 양보를 할 수 있는 사람인 것이다. 또한 상대방을 진심으로 존중 할줄 안다. 자신보다 강한 사람에게도 약한 사람에게도 한결같이 진심으로 존중하는 태도로 대한다.

책속에서 저자는 자신의 경험과 더불어, 살면서 만나온 여러 사람들의 예를 적절히 들어 이러한 특징들을 하나하나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더욱 이해가 쉽게가고 명확하게 알수 있었다.

또, 이 책에서는 어딜가나 환영받는 사람들의, 관계 법칙 10가지를 소개하고 있다. 즉, 적당한 거리에서 행복한 인간관계를 만드는 10가지 법칙을 이야기 한다. 초심을 지켜 믿음을 쌓아간다는 것, 처음과 끝이 한결같다는 것, 누구든 정성을 가지고 대한다는 것 등 그들이 관계를 만들어 나가는 법칙들에 대해 소개한다. 그리고 한걸음 더 나아가 끌리는 사람을 넘어 성장하는 사람이 되기위한 방법도 다양하게 소개하고 있어서 참 흥미로웠다.

결국은 사람들 사이에서 매력을 끄는 사람이란, 진심을 행동으로 보여주며 항상 미소짓고 약한사람을 흔쾌히 도울 수있는 뜨거운 마음을 가진 사람이다. 배려와 존중, 겸손의 덕목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 것이다.

책을 읽고난 후, 나는 저자가 이야기하는 10가지 법칙들을 마음에 새기고 쉽게 무너지지않는 나만의 탄탄한 인간관계를 위해 지금부터라도 더욱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
🌿약점은 한없이 사람을 위축되게 하지만, 피나는 노력을 통해 약점에 변화를 주면 자신감이 됩니다. 자신의 치부가 사라지면 당연히 그 자리는 자신감이 대신할 것입니다. (P.27)

🌿사람의 마음을 자신의 마음속으로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약자를 도울 수 있는 마음을 품어야 합니다. 이런 마음은 보통 이상의 힘을 갖고 있습니다. (P.35)

🌿서로의 마음이 편안하게 닿을 수 있는 정도의 거리에서 관계를 만들어야 합니다. 적당하지 않은 거리와 눈높이가 맞지 않는 상황은 어느 한쪽이 불편함을 느껴 밀어낼 수밖에 없습니다. 마음은 불편함 뒤에 숨으니까요. (P.47)

🌿진실한 사람은 웃음도 친절도 과하지 않습니다. 진심이 바탕이 되어 나온 친절은 살아온 세월에 기반합니다. 즉, 친절이란 자신이 만들어낸 세월의 결과물인 셈이죠. (P.57~8)

🌿배려의 효과는 커다란 파장을 일으킬 수 있을만큼 강력합니다. 사소할지라도 베풀 수 있는 마음은 그 사소함을 훨씬 뛰어넘습니다. (P.67)

🌿물질이든 마음이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서는 사소해 보이지만 중요한 것부터 엄격하게 지켜야 합니다. (중략) 감동은 작은 것, 즉 사소할지 모르는 세심한 행동에서 나옵니다. (P.86)

#도서협찬 #관계는습관이다 #시소출판사 #SISO출판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