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들어보지 못해서, 아이에게 해주지 못한 말들 - 5,000가정을 변화시킨 따뜻한 대화 습관 28
다나카 시게키 지음, 장민주 옮김 / 길벗 / 2020년 9월
평점 :
부모는 아이들에게 사랑을 가득 주고 싶습니다.
아이에게 최선의 환경도 제공해주고 싶습니다.
그러나 늘 불안하기도 합니다.
내가 잘 하고 있는걸까, 내가 가는 길이 옳은걸까?
내가 잘못해서 아이가 불행해지면 어쩌나 걱정을 합니다.
네 아이의 아빠이자, 심리학을 전공한 의사인 저자는
정신과 의사로서의 임상경험과 네 아이들을 키우며 느낀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아동상담과 가족상담을 진행 운영하며
부모들을 관찰하고 느낀점들을 통해 불안해 하는 부모들에게
부담을 내려놓고 행복한 육아를 하기를 바라는 메세지를 전합니다.
더 잘하려고 노력할수록 육아는 힘들어지고 끊임없이 불안해합니다.
그러니 부모는 육아가 즐겁지 않고, 아이는 부모의 눈치를 보느라 힘듭니다.
최고의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도 부모의 기준일 뿐입니다.
완벽은 어른들의 환상입니다. 하지만 아이 본연의 모습을 인정하면
다음에는 어떻게 성장할까, 무엇을 배웠을까 하며 성장을
지켜보며 응원할 수 있게 됩니다. 스스호 성장하는 힘을 익혀갑니다.
우리 부모세대들은 사실 어린시절 부모들로부터 따뜻한 말을
듣고 자란 경험들이 적었습니다. 먹고 살기 바쁜 부모님들은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은 같아도 살갑게 돌보고 안아줄 시간이 없었지요.
그래도 그때는 부모가 아닌 다른 가족과 이웃들과 정을 나눌 수 있었어요.
그러나 요즘은 아이들은 핵가족화된 우리 가족 이라는 테두리안에서
생활하기에 더욱더 부모로부터 받는 영향이 더크게 다가옵니다.
우리는 부모님 세대와 달리 자녀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배우고 자란 세대입니다. 그래서 더 열심히 사랑해주려 합니다.
그러나 어이 본연의 모습대로 자랄 수 있는 기다림에는 조바심이 납니다.
이것은 아이들이 스스로 성장할 기회를 빼앗는 일일지도 모릅니다.
이책은 아이와 함께하는 매 순간이 행복해지도록 하기위해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대화법들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무심코 상처주는 말과, 아이를 따스히 감싸고 성장시키는 말이
대비를 이루어 소개되고 있어요. 부모마다 처한 상황이 달라
사실 100% 정확한 정답은 아니겠지만, 이책을 통해
내가 너무 목표치를 가지고 아이에게 말하고 있었구나
하고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아이의 진정한 행복을 스스로의 힘으로 찾을 수 있는
기회를 아이에게 오롯이 두고, 아이의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고
본연의 모습대로 잘 자랄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아이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좋은 환경보다 자기긍정감이라고 합니다.
엄마아빠는 있는 그대로의 나를 소중히 여기는 사람 이라는 것을
엄마아빠는 내가 존재하는 것만으로 행복해한다는 것을
아이가 충분히 깨달을 수록 아이는 자기긍정감을 느끼게 되며
자기긍정감은 곧 자존감의 토대를 이루어 행복으로 향하게 됩니다.
.
.
.
🌿 음식을 흘리며 먹을때 우리는 무심코
"그렇게하면 흘린다고 했지! 왜 이렇게 조심성이 없니?"
라고 해요. 그러나 자기긍정감을 키워주는 말은
"괜찮아, 그럴 수 있어. 닦아줄게." 입니다.
: 아이니까 흘리는 것입니다. 아직 손의 움직임 정교하지 못한 아이들입니다. 일부러 안하거나 부주의 해서 그런 것이 아니니까요. 그러니 아이의 미숙함을 꾸짖으면 안됩니다. 위험하다면 애초에 그런 위치에 컵이나 그릇을 두지 말아야 합니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을까지 기다려 주어야 합니다.
🌿 그렇다면 음식을 흘리거나 쏟지않고 다먹었을 땐 어떨까요.
무심코 우리는 "잘했어, 멋지다!" 라고 하지요.
하지만 자기표현력을 키워주는 말은 "맛있었어?" 입니다.
: 칭찬을 많이 하면 자존감이 높아질수도 있지만, 칭찬에게는 충고와 비슷한 부분이 있습니다. 칭찬은 괜찮네 라는 평가가 됩니다. 주변 사람들의 시선에 예민한 아이에게는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도 있습니다. 칭찬이라는 형식으로 행동을 평가하기 보다는 아이와 대등한 마음으로 말을 거는 것이 중요합니다.
.
.
.
이외에도 총 28가지의 따뜻한 대화습관에 대해
우리가 무심코 하는말과 긍정적인 방향의 말로 나누어
대비적으로 알기쉽게 설명해 주다보니 이해하기 참 쉬웠습니다.
우리는 따뜻한 부모가 되기보다 지켜보는 부모가 되어야 합니다.
부모는 나를 존재만으로 사랑한다. 나를 신뢰한다 라는
마음이 아이들 마음속에 싹이 트고 열매가 되도록 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