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나를 발견하는 아이로 키워라 - 꿈꾸고 배움을 즐기는 아이, 당당하고 행복한 아이로 키우는 법
지인옥 지음 / 미다스북스 / 2020년 7월
평점 :
품절


요즘 유행하는 이야기 중에 #라떼는말이야 라는 이야기가 있다.
흔히 꼰대라고 불리우는 기성세대들이 젊은이들에게
요즘과 다른 옛날을 이야기할때 쓰는 이야기이다. 하지만,
그만큼 과거와 현재의 생각, 가치관이 달라졌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뿐인가? 흔히 좋은 직업이라 불리는 직업 트랜드도 달라졌고,
정보의 발달과 급변하는 세상 덕에 성공의 방법도 달라졌다.
예전에는 공부만 잘해도 성공할 수 있는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요즘의 아이들은 공부만으로 크게 성공하기는 쉽지 않다.
오히려 자신의 꿈을 전문적으로 펼치고, 한 분야의 전문인으로
성장하는 것이 진정한 성공으로 이루어 지는 경우가 더 많다.

이런 시대에 있어서 내아이의 꿈을 어떻게 찾게 할 것인가?
예전에는 예술을 하면 배고파서 안되고, 순수학문은 돈을 못벌고,
남들 많이 하는 일을 똑같이 해야 평범하게 잘 산다고들 했다.
그러나 요즘은 그렇지 않다. 오히려 남다른 일, 나만의 독창성을 살려
나만의 일을 하는 사람이야말로 제대로 성공 가도를 달린다.
먹고살만한 세상이 되면서, 하기싫은 일을 억지로 하며 불행하기보다
하고싶은 일을 하며 즐겁게 사는 것을 가치있게 여기는 시대가 되었다.
그렇기에 부모들은 내아이가 행복하게 꿈을 이루며 살기를 더욱 소망한다.

이 책은 이렇게 예전과는 많은 것이 달라진 새로운 시대에,
어떻게 하면 내 아이가 꿈을 가지고 배움을 즐기며,
당당하고, 진짜 나를 발견할 줄 아는 아이로 키울 수 있을지에 대해
하나하나 작가의 경험에서 우러난 조언과 방법들로 채워져 있다.
.
.
🌿 아이들은 자기가 원하는 것을 실컷 하고 나면 진한 성취감을 느끼고 행복해한다. 그 행복감은 또 다른 도전으로 이어져 자신의 꿈을 찾아 나서게 된다. (P.16)

🌿 이제는 세상의 흐름에 따라 남들만 쫓아가는 삶을 멈춰야 한다. 그리고 미래에 통할 다른 방법을 발견해야 한다. 어떤 사람들이 자기만의 꿈을 위해 강력한 방법을 개발하는지 끊임없이 연구해서 아이와 충분히 대화해야 한다. (P.19)

🌿 자녀 교육에 대해 수많은 조언과 성공법이 있지만 가장 필요한 것은 엄마가 자녀에 대해 새로운 교육관을 갖는 것이다.(중략) 이제는 아이가 가슴뛰는 일을 찾게 도와주어야 한다. 아이들 스스로 하고 싶은 것을 하며 살아갈 수 있는 길을 열어줘야 한다. (P.26)

🌿 나는 부모들에게 아이는 아이의 성장과정에 맞게 천천히 키워도 된다는 말을 해주고 싶다. 아이들의 미래는 부모들의 미래와 다르다. 미래의 아이들을 현재의 부모 관점에서 생각하고 키운다면 실패할 확률이 높을 수 밖에 없다. 아이가 공부를 통하여 자신의 꿈을 성취해간다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꿈을 위한 공부가 아닌 막연한 취직을 위한 공부는 멈춰야 하지 않을까? (P.52)

🌿 아이들의 꿈을 이루러면 아주 단순한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에 맞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 아이들이 쉽게 해낼수 있는 만큼만 조금씩 꾸준하게 이루어 나가서 성취감을 맛보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은 성취감이 쌓여서 커다란 결과를 만들어내는것이다. (P.77)

🌿 미래의 인재로 아이를 키우고 싶다면 '네가 뭘 안다고 그래!'라는 말로 아이의 호기심을 멈추게 하지 말자. 차원이 다른 세상을 이끌어갈 아이에게는 부모님의 적극적인 관심과 넓고 멀리보는 혜안이 필요하다. (P.117~8)

🌿 진짜 나를 발견한다는 것은 깊은 내면의 대화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자기 일치와 같은 것이다. 자기 일치가 잘 이루어지면 자신의 감정을 잘 다스리게 된다. (중략) 바른 인성으로 다져진 아이는 진정한 가지와의 만남을 이루어 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진짜 나를 발견하는 아이로 키울 수 있다.(P.252)
.
.
일일히 다 나열할 수 없을 정도로 주옥같은 이야기들이다. 내 아이를 어떻게 하면 꿈을 가진, 그리고 꿈을 이루는 사람으로 키울것인가 그 해답을 찾고 싶은 학부모들에게 이책을 꼭!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