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를 바꾸는 요술쟁이 바람 지구 환경 이야기 2
허창회 지음, 윤태규 그림 / 풀빛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 보다 생활과 시간의 여유가 생긴 현대인들은
여가시간을 여행이나 나들이로 보낼 기회가 많아졌지요.
(물론 우리는 요즘 코로나로 인해 여행을 자주는 못하지만)
우리는 나들이나 여행을 계획할 때 제일 먼저 날짜를 정한 후,
보통 그 날짜의 날씨부터 찾아보곤 합니다.

그만큼 날씨는 변화무쌍하게 변하고 있기에,
기상청에서는 날씨를 예측하여 발표하곤 합니다.
물론 그후로 다시 날씨가 변하기도 하고,
예측이 빗나가기도 하지만요.

가끔은 예측과 달리 좋지 않은 날씨를 원망하기도 하고,
또 반대로 예측과 달리 의외로 좋은 날씨에 감사하기도 하지요.

이렇듯 날씨는 우리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고,
날씨는 우리 생활 깊숙히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우리의 먹거리, 옷차림, 주거환경에 이르기까지
날씨는 우리에게 정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이책에서는 날씨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데요.
아직 과학적 지식이 없는 아이들이 다소 이해하기
어려울수도 있겠지만, 가볍게 읽으며 자연과학의
기초를 쌓을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도 할 것 입니다.
책을 끝까지 다 읽고 나면 아이는 자연과학에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가는 첫걸음을 내딛게 될거예요.
.
.
.
1장에서는 바람과 날씨의 중요성을 다룹니다.
적벽대전에서 제갈량은 바람을 부른 것이 아니라,
그간의 바람을 잘 관찰하여 예상했을 뿐이죠.

2장은 바람의 방향이 계절에 따라 바뀌는 이유를 설명해요.
시베리아지역에 고기압이 있기 때문이지요.
겨울에는 시베리아 고기압으로부터 무척 찬바람이
북서풍의 형태로 우리나라나 중국으로 불어온다고 해요.

3장은 바람의 세기예요. 흡수되는 태양열은 지역에 따라 달라지고
위도에 따라 태양열을 흡수하는 양이 다르므로 온도가 달라집니다.
이로 인해 지역에 따른 온도차가 중위도 지역이 가장 크므로
중위도 지역의 바람이 가장 세게 분다고 합니다.

4장에서는 우리는 인공위성을 통해 구름을 살펴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면 지구는 마치 커다란 풍차같다고 해요.
중위도에서는 서풍, 열대 지역에서는 동풍이 불지요.
이는 남,북반구가 동일하므로 남반구도 중위도에서 서풍이 분답니다.

5장은 무지개에 대한 내용이예요. 무지개는 햇빛이
물방울 속에거 굴절되고 반사되어 나온 빛이라고 합니다.
이는 태양을 등져야만 보이기때문에 동쪽으로 해가뜨는 아침엔
서쪽하늘에서 서쪽으로 해가지는 저녁엔 동쪽하늘에서
무지개를 볼 수 있는 거랍니다.

6장은 일기예보에 관한 이야기예요. 일기예보의 관측을 위해서는
관측자료를 수집하고 슈퍼컴퓨터를 이용,수치예측과 결과 분석을 통해
보도자료를 준비하여 일기예보 방송을 하게되는 단계를 거친답니다.
날씨를 정확히 예측한다는 일은 아주 어려운 일이예요.
날씨변화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이 많기 때문이지요.
그럼에도 대기과학자들은 오늘도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
늘 연구하고 노력하는 중이랍니다.
.
.
.
책을 본 후, 오늘도 열심히 연구중인 대기과학자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지니게 되었습니다. 많은 날씨변화의 요인들이 복잡히 작용함에도
최대한 우리 국민의 생활의 편리를 위해 날씨와 바람에 관한
연구를 해주시는 거니까요.

왜 예측이 틀렸을까 불평하기 보다는 그사이 날씨외 바람에게
무언가 다른 요인이 생겼구나라고 과학적으로 생각하기로 했습니다.

비가 많은 요즘, 내일부터 8월초까지도 비가 계속된다고 하더라구요.
많은 불편함이 따르겠지만, 때론 비가 이땅에 꼭 필요함을 인지하고
적당히 땅을 적셔주고 대지를 비옥하게 해주는 밑거름이 되기를 간절히
바라게 됩니다. 어떤 비피해도 없이 적당한 비가 되기를 바래보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