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리를 처방합니다 - 나를 알고 사랑하는 이들을 이해하는 심리 카드 29
노우유어셀프 지음, 최인애 옮김 / 마음책방 / 2019년 10월
평점 :
변화의 첫 단계는 심리와 마주할 용기는 내는 것이라고 한다. 책을 읽는 내내 숨어있던 혹은 숨겨왔던 나를 들킨 듯 흠칫 놀라기도 하고 무릎을 탁치며 내가 이럴 수 밖에 없었구나 깨닫기도 했다. 내 행동의 심리적 요인을 깨닫기도하고 지금의 나를 만든 원인과 결과를 마주하기도 하였다.
이책이 특히 좋았던 이유는 29개의 심리카드 주제로 심리유형을 나누고, 각 주제별로 '심리'와 '처방'으로 구분하여, '심리'에서는 심리적 이론으로 그 특징과 원인을 풀이해주고, '처방'에서는 그리하여 어떻게 하면 내가 더 나아질수 있는가를 제시해 주고 있어서다.
예를 들면,' 인격은 타고나는 걸까, 내가 만드는 걸까? ' 라는 주제에서는 신생아때부터 지니는 성격, 즉 기질에 대하여 이야기를 한다. 기질이란 태어나면서부터 지니는 개인 고유의 성질로 인격 형성의 가장 밑바탕에 깔리는 특징적인 경향을 말하는데, 이러한 기질은 세월이 흐르고 새로운 것을 배우고 경험을 하더라도 변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아동학과 전공때 기질에 대한 수업과 그때 보았던 다큐멘터리가 생각나는 순간이었다. 이러힌 유전적 특질은 성장 환경의 변화에 의해 그 성격이 변하지 않으나, 인격도 신체처럼 성장을 하기는 한다. 그러나 이것은 변화라기 보다는 과거에 비해 현재 더욱 성숙해지고 성장했다는 의미이다. 후천적인 요인이 주는 영향이 없지는 않지만, 선천적인 요인이 주는 영향은 우리의 상상을 훨씬 넘어선다고 이야기 할 수 있다.
이러한 '심리설명' 뒤에는 꼭 '처방'이 뒤따른다.' 인격을 원하는 모양대로 빚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 ' 라는 질문에 대해 선천적인 한계를 인정하고 천성적인 장점을 받아들이는 것이 그 해답이다. 즉, 과도하고 비현실적인 기대나 요구를 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누구나 선천적 한계를 지닌 대신 선천적인 장점을 지니기 때문이다. 불필요한 근심과 자책에서 벗어나 현실적인 범위 안에서 최선의 성장과 발전을 추구하는 것이 정답이다.
한가지만 더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 완벽을 원하면서 '완벽주의자'는 왜 싫어할까? ' 완벽주의자는 자신이 완벽하기를 바라며 자기옆에 있는 사람도 완벽해지기를 요구한다. 완벽주의자에는 타인지향적인 사람도 있고 자기지향적인 사람도 있다. 완벽주의자 인가 체크를 하는 체크리스트가 있었는데, 특징 10가지중 스스로 '게으른 완벽주의자'라고 칭하는 나, 본인은 무려 역시나 7가지나 해당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는 내가 완벽주의자인 경우와 배우자가 완벽주의자인 경우로 나뉘는데, 나는 전자에 해당했다. 이에 대한 '처방'은 완벽은 환상에 불과하며 이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다는 점을 깨닫고 인식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또한 성공하려고 노력하되 완벽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좋은 결과에도 만족하는 법을 배울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성과를 올리면 성공을 자축할 줄알고, 노력했음에도 결과가 기대에 못미친다해도 스스로 전심전력을 다했다는 점에 충분히 만족을 하고, 자신이 완벽하지 않아도 충분히 노력하여 좋은 결과에 도달했다면 스스로에게 상을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열등감과 콤플렉스, 감정을 억누르는 것, 남보다 민감한 성격, 충동구매나 유혹에 약한 자, 부탁을 거절못하는 자, 지나친 베풂, 피터팬증후군, 결혼공포증, 자녀에게 아버지란 존재, 마마보이 등 이미 나의 성격이거나 혹은 내가 궁금해하는 이야기들이 정말로 가득 담겨져있어서 두꺼운 편임에도 술술 읽어나게 되었고, 완전공감으로 다시보아야할 부분으로 해둔 표시가 가득해지는 멋진 책이였다.
이 책은 나자신조차 몰랐던 내안의 숨은 나를 발견하고 또 그내면의 나를 돕는 책이다. 알아두면 참 좋을만한 심리학용어와 이에 대한 해법과 설명도 정말 나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으며, 나아가 앞으로의 방향까지 보여주는 매우 유익한 시간이 되었던 것 같다. 마치 친구처럼 곁에 두고, 나 그리고 타인을 이해함에 있어 백과사전처럼 도움되는 부분들을 그때그때 들여다 볼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