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정받고 싶은 마음 - 왜 노력하는 사람이 불행해지는가
오타 하지메 지음, 민경욱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6월
평점 :
절판


인정을 받는다는 것은 그자체론 좋은 일이다. 내가 하는 어떤 행동과 말에 대해 인정을 받는다는건 내 노럭과 내 시간과 내 행동이 잘했다 열심히했다 또, 가치있다 여겨지는 것이므로 그자체로는 정말 멋진 일이다.

그러나, 사람은 인정을 받으면 받을수록 그것에 매달린다. 그리하여 본질적인 것을 잊고 더 큰 인정 더 많은 인정을 받고 싶어하게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SNS 를 매우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하지만, 나도 모르게 더많은 '좋아요'와 '댓글'과 '칭찬'을 바라곤 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물론, 나도 마찬가지다.

애당초 인정은 상대방에게 달려있는 일이다보니, 결국은 도가 지나치면 중심을 잃고 무엇이 중요한지도 잊어버린다. 원하는 인정이 나올 때까지 나도 모르게 상대방의 눈치를 보고 주위의 기대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자꾸만 행동한게 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것은 강박이나 집착으로도 이어지는데 보통을 이것을 인정하거나 본인이 전혀 깨닫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인정에 대한 좋은 면은, 누구나 인정을 받으면 일이든 공부든 자신감도 생기고 의욕도 높아진다는 것이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높아지고 우울이 억제되기도 한다. 스트레스도 덜받고 불안감을 감소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인정에 대한 욕구가 더욱 강력한 힘으로 이득이나 강력한 욕구충족을 얻기 시작하면 그 부작용 또한 무궁무진하게 따르기 마련이다. 이것은 때론 심지어 위험으로 까지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좋은 면으로서의 인정욕구를 잘 이용하려면 반드시 통제가 필요하다는 것을 명심해야겠다.
.
.
- 최근 교육현장에서 아이들의 낮은 자기 긍정감과 자존감이 문제가 되어 아동,학생을 칭찬하며 교육하자는 분위기가 높아지고 있다. 앞 장에서 소개한 대로 실제로 그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효과가 있는 만큼 부작용도 따른다. 일반적으로 칭찬은 좋은 것이고 질책은 나쁘다고 얘기하지만,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서는 질책보다 칭찬이 위험할 수도 있다. (P.51)
.
- 분명 경험이 쌓이면 같은 일이라도 쉽게 할 수 있고 자신도 생긴다. 그러나 그것을 뛰어 넘는 주위의 기대가 커져 장벽이 높아지면 스트레스가 오히려 심해지는 것이다.(P.53)
.
- 인정을 잃으면 자기효능감, 즉 '하면 할 수 있다' 라는 자신감도 사라진다. 그러면 모든 일에 소극적이어지고 매사에 도전하려는 의욕이 생기지 않을 것이다. (P.81)
.
- 기대의 무게에 짓눌리지 안호록 하기 위해서는 제도 개혁도 필요하다. (중략) 개혁의 핵심은 예를 들자면 절벽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계단' 이나 '슬로프'를 만드는 것이다. (P.169)
.
-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면서 잠재력을 칭찬하면 된다. 잠재력을 칭찬하면 "할 수 있어"라는 자신감을 갖게 된다. 즉 자기효능감에 직접 작동한다. (P.167)
.
- SNS 의존증은 거꾸로 현실 세계에 충실히 함으로써 해결로 이어질 때가 있다. (중략) 요컨데 인터넷이라는 가상 세계를 현실세계로 대체하는 혹은 서로 보완하는 관계가 되면 좋다. 그런 의미에서 두 세계가 겹치지 않는 게 중요하다. (P.200~201)
.
- 인정이란 원래 그 사람의 개성과 노력, 업적 등을 칭찬하거나 칭송하는 일이다. 인정받기 위해 무언가를 하는게 아니다. 앞뒤가 바뀐 셈이다. (P.2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