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움받을 용기 2 (반양장) - 사랑과 진정한 자립에 대한 아들러의 가르침 미움받을 용기 2
기시미 이치로.고가 후미타케 지음, 전경아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16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안에 이미 내재한 ‘공동체 감각’을 발굴하라

평이한 대화체로 철학적 주제와 현실 문제를 함께 다룬다

“나쁜 그 사람, 불쌍한 나 ㅡㅡ>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에 집중하라. “ 현재의 심리적 고통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방향전환이 필요하다. 하지만 “나쁜 그 사람, 불쌍한 나 “ 프레임에서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로 넘어가려면 내 이야기를 깊이 경청해주는 누군가가 있어야 한다(자신이든 , 갈등 당사자이든, 제3자이든). 저자의 진단에 동의하면서도 심리적 전환이 결코 쉽지 않다는 생각을 한다.


생각해보고 고민해볼 주제가 가득하다
ㅡ 자신의 과제와 타인의 과제를 분리하라
ㅡ 교육의 목표는 학생의 자립이기에 교사가 할 일은 학생을 존경의 눈으로 보고 학생을 지원하는 것이다
ㅡ 아들러 심리학의 행동 목표;
(1) 자립
(2) 사회와 조화를 이루며 살아갈 것
위 행동을 이루기 위한 심리적 목표
(1) 내게는 능력이 있다는 의식을 가질 것
(2) 사람들은 내 친구라는 의식을 가질 것
ㅡ 존경이란 인간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보고 그 사람이 유일무이한 존재임을 아는 능력이다, 존경이란 그 사람이 그 사람답게 성정하고 발전할 수 있게 배려하는 것이다 (에리히 프롬)

ㅡ 문제행동5단계:칭찬 요구, 주목끌기, 권력투쟁(반항+소극적 불복종), 복수(증오 유발, 자해등등), 무능의 증명
이 모든 행위는 ‘소속감’ ㅡ 공동체 안에서의 지위 확보가 목적이다.

상벌의 부정
경쟁원리가 아닌 협력원리

개인이 직면하는 인생의 과제(관계의 문제)ㅡ 일, 교우, 사랑

모든 고민이 인간 관계에서 비롯되듯, 모든 기쁨도 인간 관계에서 비롯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