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럼, 지구를 뒤덮다 - 신자유주의 이후 세계 도시의 빈곤화
마이크 데이비스 지음, 김정아 옮김 / 돌베개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음... 근래 이 만큼 충격적으로 읽은 책이 없다.
지난 여름 읽은 <존 홀트의 학교를 넘어서> 정도이다.
<존 홀트의 학교를 넘어서>는 교육 위기 문제에 관심을 갖는 학교를 어느 정도 체험한 사람이라면 구구 절절 와닿을 수 있다.(내 생각뿐인가.. 알라딘 순위로 보면 그다지 팔린 책이 아니다.) 참 좋은 책이였고 밑줄을 깊이 그으며 생각에 빠지곤 했다. 위선적인 교육에 대한 신랄한 비판이었는데, 교육자체가 위선과 깊이 연결되어 있다는 생각이 들곤 했다.

<슬럼>은 신자유주의와 더불어 가속화되는 지구촌의 슬럼화의 현실을 다룬 사회학적 보고서이다. 좋은 책의 한 부류가 연구자와 대중 모두에게 반향을 일으키는 책일 터인데, 이 책이 바로 그러하다. 내게는 여러모로 각별했다. 학교 교육에서도 빈곤의 문제에 관심이 있는데, 한국을 넘어 세계적인 시선을 준다. 두서없이 써보자. (감동이 끓어오를 때 바로 썼어야 했는데)

- 슬럼이 너무나 많아졌고 앞으로도 많아질 전망이다. 정말 많다.

- 대부분의 슬럼도시들은 너무나 열악하다.
  한국의 경우 상하수도와 화장실은 그보다는 덜 열악해보였다. 하지만 아프리카, 남미의 몇몇 슬럼에서 생존이나 최소한의 인간적 권위와 직결된 상하수도, 화장실의 문제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심각했다. 아 지구촌의 현실이 이정도였구나. 물론 TV에서 아프리카의 빈곤한 모습을 보지 않은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 TV의 시선은 수혜자 혹은 관찰자의 입장에서 '저런 쯔쯔, 하지만 빈곤이란 어디에나 있지...'정도로 끝났다. 하지만 세계적인 빈곤의 문제가 단지 하나님도 어쩔 수 없는 일이 아니라 자본주의가 가속화되면서 더욱 격화되고 있다는 점, 그래서 이는 자본주의의 재앙이라는 점이 아프게 다가왔다. TV의 시선은 때로 그런 현실의 변화를 거리를 둔채 관조하는데 그칠 뿐이다. 남의 일로.

- 국가기구, 유엔기구, 엔지오들이 빈곤, 슬럼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으나 실패의 연속이었다.
  면피용처럼 보이기도 했고, 예산 집행과정에서 중간계층이 과실을 따먹기도 했다. 스쿼트(무단점거)에서 시작된 슬럼들은 국가나 땅소유자들의 배를 불리고 실제 주민들은 '더 열악한' 곳으로 쫓겨난다. 이건 한국도 마찬가지였다. 수 많은 재개발들이 그곳에 살던 빈민들에게는 그림의 떡이였음을. 눈가리고 아웅앞에 우리는 무엇을 했었지?

- 국가기구의 폭력적인 슬럼 철거에서 이름을 날리는 사태가 <88올림픽 때 서울에서 벌어진 철거>였다. 자랑스럽군. 쩝.
  "가난한 주택 소유자, 스쿼터, 세입자에 대한 공권력의 폭력적 진압이 역사상 유례없는 규모로 이루어진 것은 단연 1988년 서울 올림픽이었다. 남한의 수도권에서 무려 72만명이 원래 살던 집에서 쫓겨났다. 한 카톨릭 엔지오는 남한이야말로 '강제퇴거가 가장 잔인하고 무자비하게 이루어지는 나라, 남아공보다 나을 것이 없는 나라'라고 했을 정도다."
  72만명... 세계슬럼퇴거 사건사라고 정리된 표에 따르면 80만명으로 그 유명한 버마 랑군(미얀마 양곤)을 뒤이어 2위에 이를 정도로 퇴거 주민수가 많다. 그야말로 잔혹사다. 이런 전력이 있으니 제작년인가 평택 미군기지 이전으로 주민들을 폭력적으로 쓸어낼 수 있었을 것이다. 그정도로 쓸어내도 주민 외에 일반인들에게는 분노를 크게 불러일으키지 못하는 거다. 왜냐 88년에 정점을 이룬 잔혹한 철거사를 관망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저자는 베이징 올림픽이 그 뒤를 따르는 것을 걱정하고 있었다.

- IMF, 자유무역협정 등이 얼마나 빈곤을 확장했는지 드러난다. IMF 물결은 7, 80년대 그리고 90년대 이렇게 두 차례 크게 휩쓴다. 우리나라는 첫 물결을 피해갔고 두 번째에 휩쓸렸으나 가까스로 빠져나오면서 턱걸이로 선진국을 뒤따르고 있다. 이건 예외다. 다른 제3세계 국가들은 이 과정에서 처참히 망가졌다. 맥시코가 필리핀이 그렇듯이. 농업 개방으로 농업이 무너지면서 도시주변으로 사람들이 모여들고 모여든 이들이 슬럼을 형성하며 그 와중에 일부 계층이 부를 독점하면서 부유층은 더욱 호화로워진다.

- 양극화가 심해지면서 세계적으로는 보안이 극도로 강화된 <폐쇄주택>지구가 늘어나고 있다. 사회가 무서워지고 있다는 말이다. 우리나라도 무슨무슨 팰리스를 필두로 초호화아파트들이 격리지구를 형성하고 있다. 아 이게 세계적으로 다 그런 거였구나. 양극화 사회의 격리현상이구나...

- 7, 80년대부터 시작해서 2000년대에 이르는 세계적인 차원의 자본주의 변화를 슬럼이라는 키워드로 훑어볼 수 있다. 중산국가, 중산층의 시각과 욕망에 사로잡히지 않고 좀 더 거리를 두고 한국과 자신을 보고 싶은 사람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아는 것은 때로 가슴이 묵직해지는 일이다. 그렇다고 모르고 살 수는 없지 않은가. 내가 모르고 있던 혹은 내가 알고 싶지않은 변화의 파노라마가 가슴을 확 긋는 서늘한 기분을 느껴볼  수 있다. 너무 많은 슬럼 도시의 지명, 인명, 데이터가 나오지만 외울 이유 없으니 그냥 읽어내려가다보면 객관적인 데이터 너머로 무시무시한 진실들이 솟구쳐 오르는 기분이 든다. 표현도 꽤나 문학적이어서 가슴을 더 묵직하게 내려긋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