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IRD는 상대적으로 자신의 친구와 가족, 같은 종족, 지역사회를 편애하지 않는다. 그들은 족벌주의가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하며, 맥락과 현실성, 관계와 편의보다 추상적 원칙에 집착한다. 감정적으로 볼 때, WEIRD는 그들이 속한 문화에서 장려되지만 대개자신이 세운 기준과 열망에 맞게 살지 못하면 죄책감에 시달린다. 대다수 비WEIRD 사회에서는 죄책감이 아닌) 수치심이 사람들의 삶을 지배한다. 사람들은 자신이나 친척, 심지어 친구들이 공동체에서 그들에게부과하는 기준에 따라 살지 못할 때 수치심을 느낀다. 가령, 비WEIRD들은 자신의 딸이 사회적 연결망 바깥에 있는 사람과 눈이 맞아 도망을 가면 남들의 시선을 의식하며 ‘체면을 잃었다‘라고 생각한다. 한편WEIRD들은 헬스장에 가는 대신 낮잠을 자면 죄책감을 느낀다. 헬스장에 가는 게 의무가 아니고 아무도 그들이 헬스장에 가는지 모른다고 해도 마찬가지다 - P46
적, 사회적 영향을 가져온다. 다시 말해, 사람들의 뇌를 바꾸는 것이다. 즉각적인 경제적 효과는 작거나 약간 긍정적일지라도 뒤이어 정치적, 사회적 연쇄 효과를 낳을 심리적 변화를 고찰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심리가 미래에 문화적으로나, 수천 년에 걸쳐 유전적으로 계속 진화할 것임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많은 사회에서 다양한 새로운 기술이 우리의 기억을 증강하고, 인지 능력을 형성하고, 우리의 개인적 관계와 결혼 양상을 재조정하는 중이다. 그와 동시에 양성평등의 수준과 교육 수준이 높아지면서 우리의 가족이 재조직화 및 축소되고 있다. 로봇과 인공지능이 점차 우리의 육체노동과 가장 힘든 인지업무의 다수를 대신하고 있다. 전자상거래가 늘어나고 금융 거래 보안이 강화되면서 평판을 철저하게 관리할 필요성이 줄어들고, 낯선 사람을 신뢰하고 협동하려는 우리의 내면화된 동기가 약해질지 모른다. 이런 신세계를 마주하면서 우리의 마음이 계속 적응하고 변화할 것임은의심의 여지가 없다. 미래에 우리는 다르게 생각하고, 느끼고, 지각하고, 도덕적으로 판단할 것이며, 세번째 밀레니엄의 여명기에 살았던 이들의 사고방식을 이해하려고 애쓸 것이다. - P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