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친코 1 - 개정판 코리안 디아스포라 3부작
이민진 지음, 신승미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친코1 / 이민진 글. 신승민 옮김 / 인플루엔셜

 


 


 

선자, 그리고 그녀의 가족. 잊혀지지 않을 인물들, 작품 속에 그려진 그들은 일제강점기 조선인으로서의 척박하고, 고된 삶을 살아간다. 나라를 빼앗긴 이들의 상처와 가난 속에서도 선자의 가족은 그들의 삶을 묵묵히 이어나간다. 그들의 삶을 바라보는 나는 용기를 얻는다. 그들이 우리의 민족이기 때문에, 또는 그들의 역사가 우리의 역사이기에 뿌듯함도 느낀다. 실패한 역사는 있어도 그 역사 속을 살은 우리의 조상들은 실패하지 않았다. 소설을 읽는데 자꾸 울컥 울컥 해서 혼났다. 그것은 경험해보지는 않았지만 우리의 피가 흐르는 민족의 삶을 읽어내기 때문이 아닐까.

 

선자에 삶의 태도와 방식은 아버지로 인해 비롯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선자는 한수를 사랑하지만 한수의 첩으로 살아가는 것은 거부한다. 부모님을 통해 부부의 모습이 어떤 것인지를 보고 자란 선자에게 그것은 부모님을 거역하는 일인 것이다. 그의 선택이 당연하다고 하기엔 그 시대의 환경과 선자의 위치가 그것이 당연하지 않음을 말해준다. 주체적인 여성의 삶을 살려는 그녀의 모습은 책을 읽는 내내 인상적이게 느껴졌다.

 

또한 선자가 타인을 대하는 모습은 따뜻하다. "아버지의 따뜻하고 다정한 말을 반짝이는 보석처럼 소중히 여기며 의지했"던 그녀는 타인을 바라보는 시선에서도 오롯이 아버지가 자신에게 대해주었던 따뜻함이 느껴진다. 내가 받은 것을 타인에게 실천하는 것! 그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가, 선자는 그것이 사명인 듯, 하다.

 

그녀가 간직한 가족애는, "그 친밀한 관계"는 그녀의 삶의 원동력이다. 그렇게 우리가 평생 살아도 겪기 힘든 일들을 그들은 매일 겪으며 살아냈다.

 

아픈 역사 속에 4대로 이어지는 가족의 이야기는 우리의 역사 뿐아니라 가족의 중요성까지 깨닫게 해주었다.



 

History has faild us, but no matter.

 

아, 2편도 무지 기대된다!

 

이 소설은 초반부터 흡입력이 대단했다. 간결한 문장 속에 인물들의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 전해진다. 이게 세계고전 문학작품과는 달리 문화의 정서적인 부분에서 오는 것일까. 톡 건들면 눈물이 날 것 같은...

 

-

 



(...), 내가 이 이야기를 수없이 다시 쓴 건 '역사적 재앙에 맞선 개개인의 이야기'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왕이나 통치자의 역사는 분명 매력적이지만, 우리는 권력이나 물질적 자원이 부족한 평범한 사람들의 역사에 대해서도 목말라 있다. 전쟁, 사상의 충돌은 일상의 여러 사건에 영향을 주고, 사람들의 신념은 구체적으로 표현된다. 그런 흥미로운 지점을 이 책에 담고자 했다.

/저자와의 만남 중



 

* 이런 글이 나오기까지는 작가의 사상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결코 완성되지 못했을 것이다. 우리의 역사를 세계에 알리고, 정직함의 정의를 알려준 작가에게 감사하다.

 

 

 

 

* 출판사에게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주관적인 생각을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