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산업혁명 - 수평적 권력은 에너지, 경제, 그리고 세계를 어떻게 바꾸는가
제러미 리프킨 지음, 안진환 옮김 / 민음사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화석연료에 의지해 생산량이 늘어난 에너지는 제 1,2차 산업혁명을 거치는 동안 '산업혁명'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하였지만 반대로 지구온난화라는 반대급부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반대급부로서의 지구온난화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는 주체는 인류이고, 우리 앞에 닥친 인류의 대재앙을 막기 위한 대안으로서 천연 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과 관리를 통해 새로운 산업혁명을 만들어 내자는 것이 저자 제러미 러프킨의 주장이다.

 

이 책은 첫장에서 1, 2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인해 파괴되어 가고 있는 지구와 이 파괴의 주체가 화석연료인 석탄(제1차 산업혁명)과 석유(제2차 산업혁명)의 영향이며, 이들 화석연료로 인해 인류가 발전하는 반면 이들 화석연료로 인한 전쟁과 환경파괴에 대해서도 함께 언급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자연 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확보와 저자의 노력, 전세계 여러 곳의 자각과 노력에 대해 소개한다.

 

두번째 장에서는 이러한 에너지 확보를 위한 과정에서 발생한 수평적 권력을 소개한다. 물론 SNS를 통한 세계화와 인터넷의 영향에 대해 소개하고 있는 것도 같음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세계화의 과정에서 그 경계가 없어지고 있는 보수와 진보에 대한 논의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직 우리는 세계화와 대륙화의 과정에 포함된 나라가 아닌가라는 의문도 든다.

 

마지막은 앞으로의 미래를 위한 생존의 과업으로 협업에 대해 소개한다. 협업의 정확한 영어적 표현은 잘 모르겠지만 요즘 잘 사용하는 용어중 하나가 Co-work인데 아마도 협업의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스스로 위로하고 있다. 하나하나가 성공하여 발전시켜 나가던 사회에서 여러 사업의 협력하고 여러 사람들의 생각을 하나로 모아 새로운 세계를 발전시켜 나가자는 소개로 Co-work을 실천하고자 노력중인 사람으로서 미래의 세계에 동참할 수 있는 기회가 더 있기를 기대한다.

 

책에는 다양한 경험과 사례들을 소개하고 있어 책을 읽는데 있어서 큰 어려움은 없었다. 또한 나 자신만의 미래가 아닌 인류의 미래를 위해 화석연료에 기반한 현재의 산업구조에 분명 문제가 있음에 대해서도 더 많은 사람들이 인지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