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델 지음, 이창신 옮김 / 김영사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현대 사회의 구성원들은 다양하고 다원화된 삶을 살고 있습니다. 이 책은 이렇게 다양하고 다원화된 삶을 살아가는 구성원들이 느낄 수 있는 변화되는 '정의'의 개념을 몇가지(크게 보면 공리주의, 이마누엘 칸트, 존 롤스, 아리스토텔레스) 개념과 정의론에 기초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야기를 하자면 존 롤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를 섞어서 인정하는 듯한 분위기를 주지만앞선 정의론을 주장하였던 분들의 정의론을 종합하여 공동선이라는 혼용된(특히 현재의 사회분위기와 사회적 배경을 고려해야 하는) 형태의 정의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하버드대에서 30년간 강의한 '정의'의 개념이 '명확히 이것이다'라는 개념을 가지고 이 책에 접근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그리고 이해하기 난해한 미로속에 빠져드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합니다. 물론 저도 아직도 이해하기 어려운 많은 부분과 난해한 미로속에 빠져있는 것 같다는 생각을 버리질 못하고 있습니다. 

법에서 잘 사용하는 용어중에 하나가 '절충설' 또는 '상당인과관계설'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법학자들이 명확히 어느 하나의 개념이 맞다라고 인정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존재하여 말 그대로 '절충'한(각 학설의 좋은 점만을 모아서 만든) 학설을 채택하고 있는 것과 비슷한 과정이라 생각됩니다. 아마도 '정의'라는 단어는 절충 보다도 더 어려운 내용인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