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살이라는 스캔들
나이토 치즈코 지음, 고영란 외 옮김 / 역사비평사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책이든지 독자와 가장 먼저 마주치는 것이 책의 제목과 꾸밈이다. 소위 책 제목이 얼마나 근사한지’, ‘책 디자인이 깔끔한지등은 책을 접하는 독자의 첫인상을 좌우하고 따라서 책이 담고 있는 내용과 별개로 중요한 요소이다. 이런 점에서 우선 이 책은 나를 포함한 다른 대부분의 독자들에게 좋은 첫인상을 전해주리라 생각한다. 암살이라는 스캔들이라는 제목은 호기심을 자극하는 매력을 지녔다. 이토 히로부미의 초상이 선명한 가운데 옛 일본신문 기사들이 혼재되어 있는 표지 디자인 또한 마음에 들었다. 개인적인 취향일지 모르겠다.^^

이 책은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일본 신문을 중심으로 미디어 이야기(서사)의 특징을 분석하고 있다. 미디어 서사의 양의성(兩意性)과 정형(定型), 양의성이 구조 속에서 드러나는(혹은 비틀리는) 방식과 비유 등이 저자의 분석 대상이다.

책은 크게 1부와 2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미디어 이야기의 정형화된 구조이다. 당시 미디어에서 질병, 여자, 식민지 등은 약한 존재 또는 뭔가 결함이 있는 것을 상징했다. 이는 남성 젠더로 상징되는 근대국가 일본과 대척점에 있는 것으로 멸시 내지는 반대로 일본의 보호를 정당화하는 기제가 되었다. 2부는 그러한 비유 구조가 암살 사건에 어떤 식으로 반영되는지를 분석했다. 조선 민비의 암살과 이토 히로부미의 암살, 대한제국 병합, 메이지천황의 병사 등이 주요 분석대상이다. 이런 사건을 당시 미디어가 어떻게 보도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야기 속에 담긴 미디어의 욕망을 들추었다.

책은 당시의 다양한 기사를 제시해 아이누민족이 어떻게 표상되었는지, 마찬가지로 조선의 민비를 어떻게 표상했고 그 구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재현되고 혹은 사라지는지를 흥미롭게 보여준다. 근대국가 일본과 일본이 보호해야 할 식민지 조선이 어떤 관계로 비유되고 그러한 구조가 영친왕이나 안중근에 관한 기사에 어떻게 투영되는지 또한 설명한다. 대단원은 천황의 병사이다. 저자는 천황의 투병 경과에 대한 언론의 상세한 묘사가 천황을 기존의 성역에서 끌어내렸다고 본다. 나아가 이는 완전무결한 가족의 서사나 식민지 서사에도 상처를 주는 것이었다. 천황이 암살당하는 것이 오히려 미디어를 기쁘게 했을지 모른다는 본문 마지막 문장은 미디어의 양의성에 대한 책 전체의 논증 가운데서도 가장 인상적인 것이었다.

비단 미디어 분석에 관심이 많은 독자뿐만 아니라 아이누민족의 흡수로 대변되는 근대 일본민족 및 일본 국가의 형성과정 또는 같은 시기 조선(대한제국) 역사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도 모두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이란 생각이 든다. 특히 양자를 상호보완적으로 내지는 어느 정도 비판적 시각을 견지한 채 읽고자 한다면 도움이 될 것 같다. 즉 미디어 비평의 관점에서는 역사를, 역사학의 입장에서는 미디어 비평의 분석 방법을 어떻게 보완할 것인지를 생각하며 읽는 것이 이 책을 읽는 방법의 하나가 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매우 유익한 책이다.

개인적으로 인상 깊었던 것 중의 하나는 메이지시대 일본이 조선을 철저히 파악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조선이 막 문호를 개방하고 비로소 근대문물을 조금씩 수용하는 와중에 청, 일본, 러시아 등 세력 다툼으로 자립에 어려움을 겪던 상황이었던데 반해 일본은 국내 상황을 이미 정비하고 조선에 진출하기 위해 치밀한 준비를 했다. 책에 실린 김옥균과 민비 등 조선왕실 내부사정에 대한 기사를 읽다보면 일본이 조선 사정에 얼마나 밝았는지 또 이미 상당히 개입을 하고 있었음에도 겉으로는 일본의 의도를 철저히 감추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반대로 당시 조선은 일본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었을까? 제국일본의 무서움을 새삼 느끼게 되는 지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