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박물지 - 이어령의 이미지 + 생각
이어령 지음 / 디자인하우스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밥 먹을 때 쓰는 젓가락 하나, 옷 입을 때 매는 옷고름 자락 그리고 누워서 바라보는 대청 마루의 서까래 - 한국인들이 사용해온 물건들 하나하나에는 한국인의 마음을 그려낸 별자리가 있는 것이다. 한마디로 그것들은 서명되어 있지 않은 디자인이며 조각이며 책이다. 이 책은 바로 그 한국의 영상과 한국인의 생각의 별자리를 읽으려는 욕망, 그리고 그 읽기의 새로운 실험에서 탄생되었다. 

머리말을 그대로 인용.

가위, 갓, 거문고에서부터 호랑이, 화로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옛 물건, 풍습 등 민속적인 느낌이 물씬 풍기는 것들을 대상으로 거기에 담긴 의미, 엿볼 수 있는 마음 등에 대해 짧은 에세이 식으로 쓴 책.

이를테면 맨 처음에 나오는 가위의 경우 대개는 분단, 단절, 제거를 상징하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다. 그러나 끝이 무디고 날이 어긋나 아무것도 잘라낼 수 없게 되어있는, 가위의 기능을 가위질해 버린 한국의 엿장수 가위는 그 이미지를 역전시켜 일탈의 시적 효과를 만들어냈다고 하는 것이다.

이미 민속박물관 정도나 가야 볼 수 있을, 그러기에 현실에서 잊고 지내던 우리네 생활의 옛 동료들에 대해 따뜻하고 성찰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 있으므로 정겨운 느낌이 든다. 그냥 그러려니 했던 맷돌이니 물레방아에 이런 의미가 있었구나 우리 조상들은 이걸 이렇게 사용했구나 그런 관점도 접하게 되니 새롭다.

그렇지만 우리네 옛 것이라고 마냥 속깊은 의미가 있으리란 법은 없고 그것이 우리의 정체성마냥 받들어져야 하는 것도 아닐테다. 바로 전에 진중권의 책을 읽어서인지도 모르겠지만 정체성과 습성(하비투스)라는 건 분명 구분해야 할 차원이다. 단순히 옛 것에 이러이러한 특징, 면모를 발견할 수 있다고 하는 것과 남의 것과 비교해 이것은 이러한 의미(우수성의 늬앙스)가 있고 마냥 긍정적이고 따뜻한 시선으로 보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

몇 가지 예를 들어보자면 갓이 일종의 점잖음을 보여주는 도덕성을 지닌다는 것, 비녀의 절제미를 설명하며 이 절제를 잃은 것이 산발한 현대 여인들의 모습이라고 한 것, 서양의 경우 주부의 풍요의 미와 창기의 불모성이 대립을 이룬다고 한 추상적인 진술 등이 있겠다.

주제에 넘는 얘기일지 모르겠지만 우리 옛 문화를 바라보는데 꼭 '현재'와 대비되는 것으로써, '서양'과 대립되는 것으로써 각을 세우는 것 자체가 일종의 강박관념이며 그 강박관념은 우리 것에서 뭔가 계승해야 할, 본받아야 할 가치를 끌어내야 한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게 아닐까. 따로 나뉘어진 우리의 밥상에서 봉건주의의 신분사회가 형성되었지만 민주주의 시대에는 민주주의적 평등성과 자율성을 나타내는 훈련공간이라는 글이 그렇다. 다시 생각해보아도 서양의 식탁처럼 하나의 음식을 각각 덜어먹을 때 '같은 음식을 공평하게 나누어 먹는 민주적인 훈련을' 할 수 있지 한 음식을 여럿이 먹는 우리의 상에서는 서로 억제하고 양보하기보다는 눈치보다가 동시에 젓가락이 가는 경우가 더 많을 거 같기 때문이다.

우리 것에 대한 애정어린 시선은 좋지만 자칫 맹목적인 것으로 흐를 수 있음은 항상 경계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