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영실, 하늘이 낸 수수께끼를 푼 소년 - 조선시대 천재 천문학자 창의력을 길러주는 역사 인물 그림책
박혜숙 글, 이지연 그림 / 머스트비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역사 초등인물 장영실 : 조선시대 천재 천문학자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노래가사속에

장영실은 '과학 장영실'이라 불리우죠

이책에서는 천문학자로서의 면모를 강조해 그렸답니다

이미 다른 위인동화로도 자주 만나본 장영실이지만

머스트비 역사그림책에서는 어떻게 이야기를 풀어낼지

무척이나 궁금하네요^^

 

 

 


 


초등역사 초등인물 : 조선시대 천재 천문학자 

장영실, 하늘이 낸 수수께끼를 푼 소년

( #역사인물, #역사, #초등역사, #역사추천도서, #인물, #초등인물, #역사그림책 ) 



 

 

 

만들기와 밤하늘의 별 바라보는 걸 좋아하는 장영실이 열살쯤 되었을때

이방이 찾아왔어요

 

 

"네 어머니가 관아에 속한 기생이니, 너도 관아의 종이란다.

나를 따라 오너라!"

장영실이 살던 조선시대는 신분사회임을 알 수 있는 대목이지요

 

 

 

 

 

 

뚝딱뚝딱 만들기 좋아하는 장영실은 망가진 무기들도 새것처럼 고치는 재주쟁이랍니다

 

 

호기심 많은 후도 어제 엄마가 낮잠이 든 사이

책장 칸막이를 도라이버와 망치를 이용해 분해해 놓은거 있죠

책장을 깨끗이 쓰고 싶은데 칸막이가 있어 답답해 보인다나요??

이왕 만들기 좋아하는거 장영실처럼 누구나가 인정하는 손재주였으면 좋겠다니깐요

 

 

 

 

 

장영실의 손재주는 급기야 태종임금의 귀에까지 들어갔어요

허나.. 궁궐에 들어간 장영실은 신하들의 시샘을 자극했다죠

하지만 장영실이 만든 물건을 보고나면 아무말도 할 수 없었어요

튼튼하고 기발했으니깐요

 

 

 

 

 

오호~~ 드뎌 세종대왕 등장이요

세종대왕은 자나깨나 백성들 생각뿐이었어요

 

'백성들이 마음 편히 잘 살려면 나라가 강해져야 한다.

그러려면 과학과 기술이 무엇보다 중요하지'

 

 

이책은 장영실이 주인공임과 동시

세종대왕의 기품과 능력 또한 함께 엿볼 수 있어 참 좋더라구요

 

 

어질고 트인 임금 세종대왕과 함께라면

장영실의 손재주는 더욱 더 빛을 발하리라~~~~~~

 

 

 

 

 

 

세종대왕이 명한 시계와 천문관측기구를 만들기 위한

장영실의 대단한 도전 에피소드는 자연스레 집중하게 되어요

 

 

명나라 하인옷을 바꾸어 입고 북경의 관상대로 들어가려다 적발되어 도망가던 중

 가장 큰 책방에서 판매금지책인 천문학과 물시계에 관한 책을 몰래 구입해

조선으로 들어와 연구를 하는 이야기가 흥미만점이랍니다

 

 

 

 

 

새해 첫날, 세종대왕과 장영실의 생각을 더 굳게 다져준 사건 또한 흥미로워요

 

 

 

 

 

 

천문학자인 장영실만큼이나 과학에 관심이 컸던 세종대왕은

명나라에서 만든 달력을 보고 예상했던 일식시간이 틀려지는 경험을 한 후

조선에 딱 맞는 달력과 시계와 천문관측기구의 필요성을 깨닫게 된답니다

 

 

 

 

 

머스트비 인물그림책은 등장인물들의 주고 받는 대화들이 많이 등장하는데요

세종대왕이 하는 말 하나하나

나라와 백성을 위한다는게 진정으로 느껴진답니다

설민석의 한국사특강에서 달리 세종대왕이 지겹도록 등장하는게 아니었어요​^^

울신랑.. 또 세종대왕 얘기냐며 군시렁대곤 하거든요 ㅋㅋㅋㅋ

 

 

 

 

 

명나라에 다녀온지 1년만에 혼천의를 만들어낸 장영실

​정말 대단, 또 대단한 인물입니다

얼마나 많은 노력을 했을까요

그 임금에 그 신하!!!

장영실은 백성의 생활을 더 편하게 하고 싶고

조선이 자기 힘으로 우뚝 서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쉬지 않고 새로운 기구들을 계속 만들어냈어요

어릴적부터 별을 보며 자랐던 노비의 자식이

백성과 대신들의 존경과 사랑을 받는 인물이 된 장영실

 우리가 앞으로 살아갈 미래에는 장영실 같은 인물들이 많이 탄생했으면 하는 바램이네요


 

부록편에서는 장영실과 장영실이 만든 발명품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어요


​장영실의 아버지는 원나라 사람인 것도

어머니는 관아의 기생이었던 것도 새삼 새롭게 알게 되었어요

신분사회였음에도 장영실이 벼슬을 할 수 있었던건

세종대왕의 '도천법' 덕분!!!

장미대선을 앞둔 대한민국도 부디 좋은 대통령이 선출되어

적어도 지금보다는 더 살기좋은 세상이 되었으면 하네요

수천세기가 지난다 해도 세종대왕 같은 대통령은 절대절대 탄생될리 없겠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