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리 덕후가 떠먹여주는 풀코스 세계지리 - 어른이를 위한 세계지도 읽고 여행하는 법
서지선 지음 / 이담북스 / 202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중국, 미국, 브라질, 일본, 이탈리아, 프랑스, 인도.. 전 세계 소식을 이토록 꾸준히 그리고 많이 접해본 적이 있었을까요? 매일같이 전 세계의 코로나 관련 뉴스를 보느라 낯설었던 나라들의 인구 수는 물론 인구 밀도, 정책까지 자연스레 학습이 되고 있어요.
그런데 다들 알고 계셨나요? 우리나라처럼 주민등록이 체계적으로 이뤄진 나라가 많지 않다고 해요.일본, 중국은 물론 영국까지 국민 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니... 유럽에 대한 환상이 코로나로 많이 깨졌어요. 뉴스를 보며 궁금증이 몇 가지 생겨서 공부를 좀 해봐야겠다 생각이 들어 읽는데 여기도 유럽이?.. ㅎ

세계 지도가 유럽을 중심으로 되어있는 까닭은 유럽이 현대 지리학을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해요. (UN은 북극을 중심에 둔 지도를 사용해 UN기를 만들었어요.)
"인류의 역사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고대 문명에서 출발했고, 페르시아나 중국은 오랜 역사 속에서 독자적인 문화를 꽃피우고 있었다. 하지만 서구세력이 권력을 잡고 세계를 식민지배하기 시작하면서 그들에게는 명분이 필요했고... 일종의 역사왜곡이나 다름없다. "
제가 학교에 다닐 때만 해도 세계사는 유럽의 역사를 중심으로 이뤄져 있었어요. (지금도 비슷하겠죠?) '세계산데 다른 나라는 왜 이야기가 없을까?'하는 의구심 다들 한 번씩은 들지 않으셨나요? 아메리카 대륙도 원주민들이 이미 살고 있는데 왜 '신대륙 발견'인건지... 이 모든게 다 유럽의 시각에서 쓰인 역사왜곡이었다니 놀라지 않을 수 없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