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읽기 격차의 해소 - 2023 세종도서 학술부문 ㅣ 격차의 해소 시리즈 1
알렉스 퀴글리 지음, 김진희 옮김 / 글로벌콘텐츠 / 2022년 6월
평점 :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실천적 치침
<읽기 격차의 해소>
ALEX QUIGLEY 지음
"유창하고 능숙하게 읽는 능력에 의해 학생의 성공 여부가 결정될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한 학생들의 학습 격차가 심화되었다는 뉴스를 접하였다. 학부모의 입장에서는 엄청난 충격이다. 다르게 해석하면 모든 교과목의 성취에 관여하는 읽기 능력 격차가 심화되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읽기 격차는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부모의 소득과 교육 수준에 따라 가정에서부터 차이를 드러낸다. 그래서 <읽기 격차의 해소> 책이 더 절실하게 느껴진다. 책에서 강조하고 있은 핵심 바로 집에서가 아닌 학교에서 교실에서 교사의 노력으로 읽기 격차의 해소를 가능하다는 확신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저자는 읽기의 흥미로운 역사와 과학적 접근법을 살펴보고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바로 공교육에서 읽기 격차의 해소를 위한 노력과 해결 방법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이 놀랍다.
"부모에 의해 5세까지 정기적으로 책을 읽으면서 자란 모든 아동은 16살이 되면 가정 내 읽기 활동을 하지 않은 아동보다 수학, 어휘, 맞춤법에서 우수한 성적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p23
읽기 격차는 취한 전부터 보인다. 입학 전까지는 부모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집에서 아이들의 학습을 봐 주면서 느끼는 건데 수학 문제를 푸는데도 읽기 능력의 중요성을 여실히 느낀다. 문제를 읽고 제대로 파악을 하지 못하면 아무리 수학적 계산 능력이 뛰어나더라고 문제 풀기를 시작조차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모든 과목의 기본은 읽기 능력이다. 읽기 격차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사이에서 더 급격해지기에 이 시기에 교사의 적절한 지도를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학생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글을 선정하여 지도하는 것이 읽기의 유창성과 읽기 동기를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니 이런 교육이 가능한 교사의 정성과 지도 능력도 강조된다.
"교사는 읽기에 대한 지식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학교는 모두가 독서를 우선시하는 문화를 어떻게 조성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성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p215
바람직하고 이상적인 공교육 학교의 모습 아닐까? 가정에서 책 접근성이 중요하듯, 학교에서도 책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도서관을 자주 이용할 수 있는 교육이 더 필요하다. 집에서는 독서 습관을 형성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아이들이 집에서도 학교에서 모두 독서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부모의 역할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독서의 중요하다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 단순하게 아이의 성적만을 위한 독서 교육이 아닌 우리 아이의 풍요로운 미래를 위한 최고의 선택이 읽기 능력 키워주기인 것 같다.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책을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