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헤란로를 걷는 신라공주 - 신라공주와 페르시아왕자의 약속
이상훈 지음 / 파람북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소설은 재미는 일단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작가의 상상이 더해지면서 새롭게 태어난다는 것이다. 재미는 때론 소망을 담기도 한다. 내가 알지 못했던 일들이 실제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소망이 그 시대를 바라보는 새로운 설렘으로 다가온다.

페르시아 왕자와 신라 공주의 이야기. 그들의 흔적을 찾아 떠나는 시간 여행이다.

소설은 두 개의 전개 방식으로 되어있다. 첫 번째 전개가 현재 시점으로 희석이라는 인물이 나온다. 할아버지로부터 '우리의 조상은 페르시아 제국에서 건너온 왕자의 후손들이야.'를 듣고 자란 희석이는 방송국에서 그의 뿌리를 파헤치고 이슬람 문화에 대한 편견을 깨트리면서 페르시아 문화와 우리나라와의 연관을 찾는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려는 피디이다. 그는 역사 속에 남아 있는 그 흔적들을 찾아 뛰어다닌다.

두 번째는 651년 페르시아 제국은 이슬람 혁명세력에 의해 무너진다. 왕은 그의 아들 아비틴에게 반드시 페르시아 제국을 되찾을 것을 당부한다. 아비틴은 훗날을 도모하며 당나라를 걸쳐 신라까지 도망가게 된다. 그리고 신라에서 운명적인 여인을 만나게 된다...

이렇게 두 시간대 인물들의 치열한 삶을 이야기한다. 현재의 희석은 여러 경로를 통해 페르시아 왕자의 흔적, 신라 인의 흔적을 찾으면서 이야기는 이어진다.

영국 국립박물관에서 발견된 페르시아 왕자와 신라 공주의 사랑 이야기를 기록한 페르시아 대서사시 <쿠쉬나메>의 인용으로 역사소설의 재미를 더했다. 설화적 기록이 담기 <삼국유사>를 역사적 참고 자료로 인정하듯, <쿠쉬나메>의 역사적 기록을 참고로 펼쳐지는 작가의 필연적 역사적 상상에 빠져들게 된다. 페르시아 왕자와 신라의 유명한 인사들과의 만남과 인연, 신라 역사에서 중대한 역할까지 숙명처럼 받아들이고 앞장 섰다는 이야기,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까지가 상상인가는 굳이 밝히려고 따지려고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런 설화가 존재하는 사실만으로도 충분히 이 소설은 가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