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생각을 열어 주는 초등 인문학
정홍 지음 / 심야책방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각하는 힘이 공부머리를 이긴다!

자존감과 성적을 가장 확실하게 올리는

읽고 쓰고 말하는 3단계 생각 수업

인문학은 엄마에게도 어렵게 느껴진다. 책 읽기도 마음먹은 만큼 진도가 나가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 아이는 어려서부터 인문학과 친하게 지냈으면 하는 바람을 늘 가지고 있고 그래서 그 방법을 알고 싶다.

"어떻게 하면 우리 아이가 자연스럽게 인문학과 친해질 수 있을까요?"p4

저자는 인문학은 사람들이 느끼고 생각하고 살아가는 이야기이기에 아이들이 어른보다 훨씬 더 인문학과 친해질 준비가 되어 있고 언제나 물어볼 준비가 되어 있기에 부모의 한 일은 아이와 함께 좋은 대화를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이 대화를 만들어 간다는 게 쉽지 않다. 심지어 자꾸 물어오는 우리 아이가 귀찮게 느껴질 때가 많다. 이 책을 읽으며 내가 평소 어떤 부모였는지 많은 반성을 하게 되는 시간이자 엄마도 철학 하는 시간, 공부하는 시간으로 소중하게 느껴졌다.

책은 4가지 주제로 나뉘어 있다. 지적 호기심이 있는 아이, 감정을 조절하는 아이, 사회성이 있는 아이, 자존감이 높은 아이로 4장으로 구성되어 각 장마다 먼저 1단계 짧은 이야기를 읽는 페이지가 있다. 2~3페이지 정도의 짧은 이야기로 탈무드나 신화 우화 등 어렵지 않고 다양한 교훈을 담고 있는 이야기다. 아이들이 먼저 읽고 흥미를 가지면서 생각을 이끌어내는 시간이다. 물론 엄마도 같이 읽으면서 생각하는 시간을 가지고 교훈이 뭔지 미리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2단계가 제일 중요한 단계이다. 엄마와 아이의 대화 시간이다. 이야기를 읽고 서로의 의견을 나누는 시간으로 하브루타 교육처럼 느껴졌다. 아이와 엄마가 실제로 나눌 수 있는 대화를 실어 놓아 평소 나눌 수 없었던 대화 형식을 우리 아이와 함께 연습하면서 아이의 생각을 알아보고 아이의 생각도 키우고 거기에 엄마의 말솜씨도 느는 일석이조의 시간이었다.

특히 짧은 이야기의 주제를 이끌어내는 것과 이야기에서 제일 마음에 드는 한 줄을 찾고 서로 이야기하면서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져 대화의 질이 높아지는 걸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 3단계는 글쓰기 시간이다. 대화를 통해 아이의 생각을 알았으니 이제 그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시간이다. 말과 글이 다르기에 좀 더 깊은 생각을 이끌어 내는 것이 글쓰기의 장점이다.

이렇게 한 스토리를 3단계를 거치면서 아이와 함께 엄마도 생각하는 힘이 생기는 듯하다. 욕심내지 말고 하루에 한 스토리, 10~20분 정도 투자해야겠다. 매일 시간을 정해서 이야기를 읽고 특히 대화하는 시간을 꼭 가져 아이와 더 친해져서 이른 사춘기를 겪고 있는 딸아이와 자주 대화하고 서로의 생각을 읽고 서로를 더 이해하는 마음도 가지면서 까칠해진 우리 딸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싶다.

감정을 조절하는 아이, 엄마가 되기 위해 유익한 책 읽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