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에게 보내는 심리학 편지 (10만 부 기념 스페셜 에디션) - 30년 동안 미처 하지 못했던 그러나 꼭 해 주고 싶은 이야기들
한성희 지음 / 메이븐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0년 동안 미처 하지 못했던
그러나 꼭 해 주고 싶은 이야기들
<딸에게 보내는 심리학 편지>
한성희 지음

"너무 서두르지 말고 천천히 뜨겁게 살아가라. 나는 그런 너를 항상 응원할 것이다."


좀 더 일찍 이 책을 만났더라면. 이제 나도 내 딸에게 이런 말을 해 줄 준비를 해야
할 나이가 되어버려 씁쓸한 기분이 든다. 하지만 책은 많은 생각과 감동과 여운을 나에게 주었다. 물론 저자가 딸에게 하는 말지만 이 나이에도 저자의 말은 나에게 들려주는 말처럼 가슴에 와닿는 부분도 많았다.

저자 한성희는 40년간 20만 명의 환자를 치료해 온 정신분석 전문의이자 한 딸의 엄마이다. 딸에게는 평범하고 서툰 엄마였다고 스스로 밝히는 저자는 수많은 환자를 만나 상담하며 해 온 이야기지만 정작 자신의 딸에게 미처 하지 못한 이야기를 결혼을 앞둔 엄마로서 책에 담았다. 품 안의 자식이라는 말이 있듯 결혼해서 자신의 길을 걷고 홀로서기를 딸을 향한 마음 정신분석 전문의로서가 아닌 엄마로서 진심 딸을 응원하는 말들이어 더 가슴에 와닿았다. 총 5가지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세상과 자아에 대하여, 일과 인간관계에 대하여, 사랑에 대하여, 감정에 대하여, 인생에 대하여. 책 내용을 전체적으로 모든 것을 아우르는 주제인 세상과 자아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챕터 1에서 집중하며 읽고 또 읽고 내 마음에도 새겼다. 물론 이런 말들을 가슴에 새겨야 할 나이가 아닌 해 들려 주여야 하는 위치에 있지만 나 또한 아직도 세상 앞에 서는 게 두려운 사람이기에 나에게 용기를 주는, 힘이 되어주는 말들처럼 눈물 나게 고맙게 느껴졌다.

"딸아, 만약 눈 군가 너에게 여자의 미덕을 이야기하고 모성을 운운하며 우리네 어머니처럼 살아야 한다고 말하거든 귀를 닫아버려라. 그리고 모든 것을 다 잘할 수 없다고 잘라 말해라. 만약 상대방이 '참 못됐다'라고 말하면 칭찬으로 들어라. 그래야 많은 역할을 하면서도 중심을 잃지 않을 수 있으며, 너 자신을 지킬 수 있다."P23

나 또한 이런 삶을 살았다고 우리 딸이 나처럼 살아가길 정말로 원하지 않는다. 싫으면 싫다고 자신의 감정에 솔직하고 못하면 못한다고 자신 있게 말해주길 바란다. 자신의 감정에 솔직해지면서 자신을 사랑하는 게 바로 자존감을 높이는 삶이기에 내 딸만큼은 다른 누구도 아닌 자신부터 많이 사랑하는 사람으로 커주길 바란다. 하지만 나는 우리 딸에게 너무 완벽해 지길 바라며 내 바라는 되로 엄마의 희망으로 커주길 바라고 강요한 건 아닌지 반성하게 된다. 머릿속으로 이해하는 것과 마음으로 받아 들이는 것과의 간극이 너무나 커서 우리 딸을 밀어붙이는 건 아닌지 또 반성하게 된다. 그러면서 지금부터라도 나도 못된 여자로 내 감정에 솔직하며 억누르고 참는 것만이 미덕이라고 생각하지 않기로 다짐한다.

이 책은 나와 내 딸의 관계에 대해서 더 깊이 있게 생각하는 기회를 만들어 주었다. 초반 부분에서는 울면서 읽었다. 그냥 눈이 무겁더니 눈물이 고이며 가슴까지 아려왔다. 딸의 사춘기로 힘들었던 시간도 생각이 나고 제대로 내 마음을 전해주지 못했던 그 시간이 미안함으로 다가와서 힘들었다. 엄마가 좀 더 현명해야 하는데, 좀 더 따뜻하게 응원하는 말을 전해 주었어야 했는데... 이런저런 생각으로 한참을 가슴이 아파했다. 두 번, 세 번 다시 읽으며 메모하면서 미리 연습하는 마음으로 준비해야겠다. 다시 읽을 때는 사랑에 대해 우리 딸과 멋지게 이야기해 주고 싶다. 정말 자신 없는 부분이지만 우리 딸만큼은 앞으로 찾아올 사랑에 대해 솔직하게 받아들이고 자신을 변화시킬 수 있는 그런 멋진 사랑을 하라고 응원해주고 싶다.

"듣고 싶은 것만 듣지 않고, 진정으로 상대의 말에 귀 기울이고자 노력한다. 그래서 사회심리학자 에리히 프롬은 사랑은 대상의 문제가 아니라고 단언한다. 삶이 기술인 것과 마찬가지로 사랑도 기술이며 어떻게 사랑해야 하는가를 배워야 한다. 즉 사랑은 특정 대상을 만나는 것으로 끝이 아니라 상대방을 진정 사랑하는 사람으로 만들어 가는 능력을 키우는 과정이다."p1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