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천재들 - 세계에서 가장 비범한 언어 학습자들을 찾아서
마이클 에라드 지음, 박중서 옮김 / 민음사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우선 이 책은 여태껏 언어를 잘 하기 위한, 특히나 영어를 잘 하기 위해 접했던 수 많은 책들과는 다른 성격의 책이었다. 초다언어구사자란 무엇이며 그들은 어떻게 언어를 습득하고 있는가, 에 대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우리 스스로가 다언어구사를 하기 위해 어떠한 마음가짐과 평소에 가지고 있는 커다란 편견의 벽을 허물어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었다.

 

쉽게 말해 내게는 기술적 이론보다는 실제로 접근할 때 가져야 하는 나의 상태, 에 대해 의문을 갖게 만들었고 정말 내가 스스로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열고 매일 접근하려고 도전하는가에 대해 돌아보게 만들었다.

 

이 책을 처음접했거나 관심을 갖은 사람들이 가장 궁금하고 흥미를 갖게 된 다양한 사례라는 부분은 실로 다른 언어를 구사하는 법을, 말로 하는 대화라는 틀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내가 한국어학을 배웠던 시간에 가장 많이 나왔던 것은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 학습자들의 위치에 맞는 언어를 접하게 하는 것이었다. 학문을 위한 학습자에게는 대화보다는 읽고 쓰고 실제로 학습을 할 수 있는 부분에 집중을 해야 한다.

 

책에서도 다른 언어에 관심을 갖는 방식이 저마다 다른 초다언어구사자들이 등장했다. 그들의 이야기들을 통해서 내가 실제로 배운 것은 앞서 이야기 했듯이 내가 왜 다른 언어를 배우고 접근하려는가에 대한 생각이었다.

스펙보다는 자유로운 대화와 생활을 위한 것이었다고 해서 단순히 회화 중심의 공부가 아니라 특히나 어느 곳에서 주로 많이 사용하고 잘 하길 원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돌아보고 왜 필요한가에 대해 설계를 해야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세계의 다양한 초다언어구사자들의 사례를 통해 외국어에 대한 관심이 단지 관심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어떻게 접근하고 설계할 것인가에 대한 반성이 되었다는 것에 뜻깊은 책이 아닐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