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하지 못해 미안해

워싱턴 스퀘어

헨리 제임스/ 유명숙 옮김

을유세계문학전집

 

 

 

유세윤이 소속된 프로젝트 그룹 UV의 ‘쿨하지 못해 미안해’는 너무나 슬픈 노래다. UV가 뮤직비디오에서 보여준 과장된 안무와 표정은 많은 웃음을 줬지만 가사만은 전혀 그렇지 못하다. 요즘은 뭐든 쿨해야 된다. 그게 진짜 멋있는 사람이다. 이별 앞에선 깔끔하게 마음을 정리하고 돌아설 줄 알아야 된다. 만나고 헤어지는 일들이 마치 블로그에 자신의 감정을 한줄 적어내듯 쉽게 해결할 수 있는 것처럼 말한다. 사랑뿐 아니라 인간관계조차도.

내겐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나는 쿨하지 못하다. 사랑은 무섭다. 사랑의 이야기가 아니라 이별에 대처하는 방법이 무섭다. 그 전의 어떤 연인에게 상처를 받았음이 뇌리에서 쉽게 사라지지 못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 또한 누구한테 그런 상처를 줬음이 분명하다. 그게 사랑이다. 양념 반 프라이드 반처럼 정확하게 나눠진 감정의 양이 아니다. 한쪽이 더 많이 사랑하게 되어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티브이 속에서 그놈의 말도 안 되는 사랑이야기에 욕을 하면서도 넋을 잃고 보는 것이다.



1880년에 발표된 헨리 제임스의 소설 『워싱턴 스퀘어』는 뉴욕을 배경으로 하는 소설이다. 부유했던 집안에서 태어난 작가는 어린 시절 많은 여행을 통해 영국인에도 불구하고 미국을 배경으로 한 소설을 제법 썼다. 헨리 제임스라는 이름이 많은 이들에게 국내 독자들에게 낯설게 느껴짐에도 불구하고 그의 소설을 접한 사람이라면 그의 수준이 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글의 속도감이 이야기가 끝나는 순간까지 일정하게 흘러가고 있고 묘사나 설명의 방법에 있어서도 더하거나 덜 하는 느낌이 들지 않았다. 이런 성과는 쉼 없이 지속된 오랜 글쓰기와 글에 대한 연구 그리고 훈련에서만 가능한 것이다. 그는 스물한 살에 작가의 길로 들어서 약 오십 년이라는 세월동안 20편의 장편소설과 130편 가량의 중단편, 12편의 연극, 여러 권의 여행기, 250여 편의 서평과 수십여 편에 달하는 비평문, 만 편이상의 편지를 썼다고 한다. 결혼도 하지 않고 오직 글에 매진한 성과라고 하기에도 정말 대단한 양이 아닐 수 없다. 발자크가 소설에 매진하기 위해서 하루에 80잔의 커피를 마셨다는데 아마 그도 이와 다르지 않은 시간을 글쓰기로 보냈음이 분명하다.

『워싱턴 스퀘어』는 을유문화사의 선택에 의해 국내에 소개되는 작품이 되었지만 정작 본인은 이 작품을 수준 낮은 것으로 분류해 자신의 전집에서도 제외했을 정도였다. 그의 작품은 살아생전 빛을 보지 못했고 후반으로 갈수록 실험적 성격이 강한 난해한 소설들을 발표해 독자들로 하여금 멀어지는 요인이 된다.

제인오스틴과 발자크, 호손의 영향을 받은 것이 보이는 위 작품은 비록 그의 손에서는 저평가를 받았지만 그의 작품이 알려지며 정점의 반열에 오른 1950년대 이후부터 지금까지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는 작품이 되었다.



잘나가는 의사의 딸로 많은 유산상속이 분명한 무남독녀의 캐서린은 당시 귀족 아가씨들이 지녀야할 예쁘고 앙증맞은 얼굴을 지니지 못했다. 못생긴 얼굴은 아니었지만 딱히 인정받기 어려운 부분이었다. 유약해 보이는 다른 처녀들과 달리 건강미를 지닌 캐서린은 모든 것에 그리 뛰어나지도 부족하지도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아버지의 눈에는 사랑하는 딸인 동시에 못마땅한 존재였고 그를 사랑한다고 접근한 눈이 부시게 잘생기고 머리가 잘 돌아가는 모리스가 재산을 노린다는 생각으로 그들의 사랑을 막는다. 아버지와 모리스의 사이에 고모까지 개입하게 되면서 캐서린을 놓고 줄다리기를 하는 동안 캐서린은 마음의 상처를 받는다. 그녀는 사랑 그대로의 순수함을 간직하고 있었다. 길고 긴 줄다리기의 시간을 통해 결국 의사 아버지의 유산을 받을 수 없다고 생각한 모리스는 매정하게 발뺌을 해버리고 그녀는 결국 마음의 상처를 입어 결혼을 하지 않는다.

그녀의 사랑에 무엇이 있었던가? 생각을 해보자면 그 순수함의 반함뿐이었다. 첫눈에 홀려 그의 입에서 나오는 달콤한 것들이 다 진심인 냥 받아드렸다. 그러나 세상을 몰랐다. 그의 아버지가 결혼을 막고 그의 고모와 모리스가 힘을 합쳐 어떻게든 결혼을 승낙받기 위해 안 보이는 곳에서 계략을 짜는 동안 그녀는 그저 사랑에 대한 열망과 아버지를 향한 순종과 사랑으로 기다리는 시간을 보냈다. 이렇다 할 변명조차 하지 못하고 모리스가 떠나는 순간까지 캐서린은 그 사랑을 믿었던 것이다. 정말 요즘 같은 말로 쿨하지 못한 모습이다. 순수하게 사랑하면 쿨하지 못한 세상. 상처가 오랜 앙금으로 남아 다시는 어떤 이에게 눈조차 돌리는 일이 없어진 캐서린의 모습은 정말 가련하다. 그녀는 너무나 풍족한 집안에서 태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모습에 자족할 줄 알았기 때문이다. 더욱 많은 것을 움켜지려하는 마음이 없었기에 오히려 모든 것을 잃는 순간 다른 이에 대한 사랑의 신뢰가 굳게 닫혔다. 시간이 흐른 후 늙기는 했지만 여전히 멋진 모습의 모리스가 불쑥 캐서린을 찾아왔을 때 그를 쉽게 거부해버리는 그녀의 모습 속에 쿨하지 못한 자의 쓴 맛이 있다. 더 많이 사랑했기 때문에 더 많이 믿었던 모습이 돌이킬 수 없는 상처로 남아버린 것이다.

사랑은 정말 무섭다. 일 년에도 수십 건씩 발생하는 탈영의 문제는 대부분 사랑하는 이의 변심에 대한 통보로 이루어진다는 것만 생각해봐도 그렇다. 그렇다고 우리는 사랑을 그만둘 순 없다.

결혼과 유산 상속으로 놓고 펼쳐지는 가족드라마라는 소재가 식상할 수 있지만 대가의 손에서 잘 만들어진 글이란 언제나 즐겁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