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보다 더 훌륭한 경영자에게 투자한다.

저자는 30대 중반 주식투자를 하다 큰 실패를 경험하였다고 한다. 그 후 큰 깨달음을 얻고 자산이 생기면 2가지 일을 한다고 한다. 첫째 내 회사를 더 키운다. 두 번째 다른 자산을 만들 곳으로 보낸다.
훌륭한 경영자에게 투자하는 일은 그들과 동업하는 것과 다름없다.

-복리의 비밀

복리란 중복된다는 뜻의 한자 ‘복’ 과 이자를 의미하는 한자‘리’ 가 합쳐진 단어로 원금과 이자에 이자가 붙는다는 뜻이다. 복리를 내 편으로 만드는가, 적으로 만드는가에 따라 훗날 재산의 정도가 달라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돈은 인격체다.

가장 첫 번째 챕터이자 저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주제 같다. 돈을 스스로 감정을 가진 인격체로 대해야 한다고 말한다. 감정을 가지고 있는 실체라 사랑하되 지나치면 안 되고, 품을 때 품더라도 가야 할 때는 보내줘야 하고, 무시해서는 안 된다.

더욱더 소중히 대해줘야지….

자기를 소중히 여기는 사람에게 붙어 있기를 좋아하고, 함부로 대하는 사람에겐 패가 망신의 보복을 퍼붓기도 한다. 작은 돈을 함부로 하는 사람에게선 큰돈이 몰려서 떠나고 자신에게 합당한 대우를 하는 사람 곁에서는 자식(이자)을 낳기도 한다. - P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7장 산만함에 불을 지피다.
집중하지 못하는 사회는 어떻게 위험에 빠졌나

부정적인 것은 더 부정적으로, 비난은 더 많이, 이해는 더 적게 만듦-> 부정 편향

웹사이트와 앱이 집중력을 훼손하는 6가지.
1. 우리의 정신을 길들여 잦은 보상을 갈망하게 만들도록 함.
2. 평소보다 전환을 자주 하게 만듦.
3. 우리가 무엇에 반응하는지 파악하여 산만해지는 지점을 파고들음.
4. 알고리즘 작동 방식이 개인을 더 화나게 만듦.
5. 화나게 만듦+타인의 분노에 노출.
6.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전파.

이런 식으로 관점을 바꾼다면 이 문제를 기술에 찬성하느냐 아니냐의 논쟁으로 바라볼 수 없으며, 그런 식의 논쟁은 우리의 집중력을 빼앗는 사람들의 잘못을 눈감아주는 것과 같다. 진짜 논쟁은 이것이어야 한다. 어떤 기술이, 어떤 목적에서, 누구의 이익을 위해 설계되는가? - P2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6장 우리를 추적하고 조종하는 테크 기업들

필자는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 차원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고 했다. 개인은 지속 불가능하고,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기업의 사용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끊임없이 정보를 준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많은 집중력을 빼앗기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개인의 문제뿐만 아니라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며 부정적인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도 생겨났다. 많은 기업의 관계자들은 “자녀들에게 쓰레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거나.“”자신이 사람들의 뇌를 날려버리고 재설정 할 수 있는 핵폭탄 생산에 일조한 것은 아닐지 우려하였으며“, ”기술 발전 형식에 적절한 법이 적용되지 않는다면 앞으로의 40년이 지난 시간보다 더욱 심각한 중독을 만들어낼 것이라“말했다.

나도 인스타, 유튜브, 인터넷 쇼핑몰 중독인 것 같다. 한번 들어가면 절대 나오지 못하는 개미지옥에 빠진 것 같다. ‘아자 래스킨’이라는 사람이 무한 스크롤을 만들어냈다고 하는데 인스타나 유튜브 들어가면 아무 생각 없이 무한대로 내리면서 보게 만드는 게 이 사람이었다니…쇼츠 만든 사람, 알고리즘을 생각해낸 사람 모두 반성하도록…이건 내 문제가 아니라 이 사람들이 나를 스마트폰 중독으로 만든 거야…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장. 소설의 수난 시대

긴 텍스트를 읽는 능력이 떨어지면 벌어지는 일

요즘 사람들뿐만 아니라 나 또한 긴 글을 읽는 게 힘들어졌다. 아마 유튜브, 인스타, 쇼츠등을 보면서 점점 글을 읽는 것은 멀어지고, 짧고 간결한 영상들만을 소비해서 그런 것 같다. 저자는 소설을 많이 읽을수록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읽어냈으며, 소설 속의 다양한 인물들과 그들의 동기, 목표를 이해하려 애쓰려 노력한다고 말했다.

5장. 딴생각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말해주는 것

흔히 집중하지 못하고, 딴생각을 하면 나쁜 거라고 말한다 하지만 연구결과는 그렇지 않았다. 먼저, 우리는 딴 생각 중에 천천히 세상을 이해하는 행위를 하는데 체계적으로 목표를 생각하고, 창의적이여 진다. 그다음으로 서로 다른 것들을 새로 연결하는데 이 과정에서 머릿속에 여유가 생기면서 생각지도 못한 문제를 해결하게 도와준다. 마지막으로 과거를 떠올리고, 미래를 예측하려고 한다고 했다.

잠시 스포트라이트를 끄고, 머릿속의 여유공간을 만들면 어떨지 생가해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