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의 집에 이모가 쳐들어왔다. 방해받은 것 같아 별로 기분이 좋지 않다. 잠시 외출하고 온 사이 이모는 집안의 이곳저곳을 뒤져보고 있었다.
읽으면서 간담이 서늘해지고, 주인공의 행동 묘사 하나하나에 빠져들어 읽었다. 앞으로 유진의 돌은 정신세계와 프레데터의 순간들을 어떻게 표현 해낼지 너무 기대된다.

검사상, 유진은 적어도 기질적인 뇌 이상은 없었다. 지능도 놀랄 만큼높았다. 행동은 또래 아이들보다 침착하고, 쉽게 흥분을 하지 않는 성격이었다. 집중할 일이 생기면 오히려 호흡이나 맥박의 속도가 뚝 떨어졌다. 얌전하거나 유순하거나 참을성이 많아서가 아니라, 흥분의 역치가보통 사람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이는 유진의 심장이 뛰려면 특별한 것이 필요하다는 의미였다. 혜원은 그것이 무엇일지 몰라 겁이 난다고 했다. 처음에는 소아형 품행장애로 추측하고 검사를 시작했는데 전혀 아니었다는 것이다. 토론결과에 따르면, 유진은 뇌 편도체에 불이 들어오지 않는 아이였다. 먹이사슬로 치자면 포식자. 나는 바보 천치처럼 눈만 깜박거렸다. 포식자라니. 혜원은 선언하듯 말해버렸다. "유진이는 포식자야. 사이코패스 중에서도 최고 레벨에 속하는 프레데터." - P259
이모 역시 내 머릿속에서 사라졌다. 나를 등진 채 퍼걸러 테이블 앞에서 있는 건 이모가 아니라 장작개비였다. 어머니를 겁주고, 들쑤시고, 어르고, 뺨을 쳐서 나를 망가뜨리게 만든 요망한 장작개비. 내 몸은 소리를 죽이기 시작했다. 숨 쉬듯 욱신대던 뒤통수가 평온을•되찾았다. 숨소리는 목 밑으로 잦아들고, 갈비뼈 안에선 심장이 느리게뛰었다. 배 속에서 공처럼 구르던 긴장이 사라졌다. 오감이 날을 세웠다. 몇 미터 거리가 있는데도, 겁먹은 것의 축축하고 거친 숨소리가 선명하게 들려왔다. 세상이 엎드리는 기분이었다. 모든 것들이 길을 열고 대기하는 느낌이었다. 나는 퍼걸러로 가는 두 번째 포석으로 발을 옮겼다. 발소리를 죽이기는 했지만 장작개비가 돌아봐도 상관없다는 마음이었다. 어차피 언제든나를 봐야 할 테니까. 그런 의미에서 기대 만발이었다. 보는 순간의 표정이 어떨지. 어떤 말을 할지, 어떤 행동을 할지. 덤빌까? 도망칠까? 비명을지를까? - P2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