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주사위는 던져졌다"고 말하였습니다.
이 말은 일이 되돌릴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으니 단행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표현할 때 종종 쓰여지는 말입니다.
주사위가 던져지게 되면 어떠한 면이 나오게 될지 그 결과를 가늠하기는 힘듭니다.
하지만, 우리 인간들은 어떠한 결과가 나오게 될까에 주목하게 되는 호기심을 지닌 존재입니다.

우주의 만물은 신의 주사위 놀음에 비유되곤 하기도 하지요.
어떠한 숫자가 나올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미래를 예측하기는 불가능에 가깝지요.
이 비유는 변수가 많기는 하지만 결정론적 세계관과 관련이 깊습니다.

<거의 모든 것의 미래>는 만약 신의 주사위가 던져졌다면 어떤 면이 나올 것인가에 대한 탐구입니다.
모든 변수를 대입한 슈퍼컴퓨터가 있다면 우리의 미래를 결정짓는 신의 주사위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아마도 주사위의 변수는 극히 제한적이어서 예측의 결과가 상당히 타당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날씨나 경제, 건강과 관련한 지극히 변수가 많은 부분의 예측은 어떨까요?
 

우리 인간은 고래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예측하기를 좋아합니다.
예전에는 점성술 등 신비주의의 영역이었다면 현재에는 좀 더 논리적이고 과학적으로 발전했다고 할까요?
하지만, 예측의 영역은 과거이든 현재이든 예측의 확률이 크게 나아진 것 같지는 않습니다.
<거의 모든 것의 미래>는 이러한 예측의 역사와 예측의 현재, 예측의 미래, 예측의 오류 등을 심도 있게 연구한 530여 페이지가 넘는 방대한 저술서입니다.





 피타고라스 정리와 피라미드 그리고 세차운동




[Book mania/서평] - 신의 지문(上)- 2012년 지구종말론? 이 책에 물어봐
저는 그레이엄 핸콕의 저서 <신의 지문>을 통해서 세계 7대 불가사의의 하나인 피라미드의 설계가 피타고라스 정리와 파이(원주율:3.14......) 등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기자의 대피라미드의 배열은 세차운동을 나타내고 있는 듯 하다고 추정하고도 있지요.
이 책에 따르면 피라미드는 약 1만 5천년 경에 지어진 것으로 연대를 추정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세차운동, 즉 별자리의 관찰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세차운동이란 지구의 기울어진 축이 약 4만 2천년의 주기마다 21.8도에서 24.4도 사이를 오가는 떨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피라미드는 원주율 등과 관련하여 기하학적으로 표현된 지구의 모형이라고도 말하고 있지요.

피타고라스 학파는 수와 관련된 신비 혹은 비밀(수비학)을 연구하는 비밀단체였습니다.
오컬티즘에서 피타고라스는 상당히 중요한 존재이기도 하지요.
우리가 아는 피타고라스 정리라고 불리는 공식의 유명함과는 달리 피타고라스 학파의 신비는 베일에 가려져 있습니다.
피타고라스는 만물이 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믿고 음악이나, 천문학 등 신에 가까이 가기 위한 방법으로 수를 택하였습니다.
이 책에 의하면 피타고라스는 아폴론의 화살을 얻은 것으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그리스 신화에서 아폴론은 태양, 예언, 의술, 궁술, 음악의 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피타고라스는 아폴론의 화살을 얻어 아폴론 신이 다루는 범주를 수의 신비에 기대여 연구한 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죠.
 

<거의 모든 것의 미래>는 총3장으로 이뤄져 있는데, 예언의 과거인 피타고라스(기원전 569년 경 - 기원전 497년 경)를 필두로 하여, 소크라테스(기원전 470년 경 – 기원전 399년 5월 7일), 플라톤(기원전 427년 ~ 기원전 347년),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년~322년), 프톨레마이오스 등으로 거슬로 올라오고 있습니다.
피타고라스가 제시하였던 기하학, 그 기하학으로 미래를 예측하려 했던 그의 연구들, 그 오류들의 수정과 발전 과정을 이러한 철학자들에 의해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가에 대한 이야기들이죠.


아폴론은 피타고라스를 낳고 피타고라스는 플라톤을 낳고 플라톤은 아리스토텔레스를 낳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케플러를 낳고 케플러는 갈릴레이를 낳고 갈릴레이는 뉴턴을 낳고 뉴턴은 아인슈타인을 낳았다.

성경의 역사처럼 제1부인 과거는 예측에 관한 인물중심의 과학의 역사를 얘기하고 있습니다.
위에 언급된 인물들에 의해 과학의 발전과 물리학 법칙들에 의해 신비주의적인 점성학 등 오컬티즘과의 결별을 이야기하고 있지요. 
 

중략 

더보기: http://blogmania.tistory.com/17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