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20>
당첨이벤트명: 위드블로그 캠페인
당첨도서: 용의 손은 붉게 물들고
원제: 龍神の雨 
작가: 미치오 슈스케
독서방법: 정독

용(龍, Dragon)

상상의 동물인 용은 동양과 서양에 있어서 그 의미가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동양에서의 용은 신성시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용을 고유어로 '미르'라고 일컬었는데, 용의 이미지도 중국의 영향을 받아 중국과 비슷한 듯 합니다.
용이 신성시 되는 이유로써는 비바람을 자유자재로 부린다고 믿었기 때문인 듯 합니다.
또한, 용하면 떠오르는 여의주의 존재 때문이기도 한데, '여의주(如意珠)'는 '뜻한 바대로 소원을 이뤄주는 구슬'이라는 의미입니다.
반면, 서양에서의 용은 해로운 존재로 인식이 되었는데, 이러한 영향은 신화적·종교적인 영향이 크지 않았나 싶습니다.
용의 생김이 뱀과 유사하며, 용의 뿔이 악마의 그것처럼 유사한 면도 있고, 또한 그리스도교에서는 악마를 나타내는 단어 중에 드래곤과 유사한 단어도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게의 용은 12지신 중 5번째의 동물입니다.
子丑寅卯辰......
<용의 손은 붉게 물들고>의 플랫도 5장의 구성으로 끝이 납니다.
 

제가 서두에 이런 말을 꺼낸 이유는 <용의 손은 붉게 물들고(龍神の雨)>라는 책의 제목에 대해서 호기심을 느꼈기 때문입니다.
왜 <용의 손은 붉게 물들고>라고 책의 제목을 지었을까요?
책을 읽으면서 그 의미를 생각해 보았습니다.

공간적 동질성 

이 소설은 렌·가에데 남매의 이야기와 다쓰야·게이스케 형제의 두 가족의 이야기가 '비가 내리는 마을'이라는 공간적으로 다소간의 동질성을 가지고서 펼쳐집니다.
서로가 가진 삶에 대한 내적인 고민을 이야기하면서 시작됩니다.
이 이야기는 비가 주는 기운과 같이 우울함을 줍니다.
이들의 이야기는 우울함에서 서로 닮아 있다고 할 것입니다.
그들이 느끼는 그러한 감정과 심리는 모두 가족의 부재에서 옵니다.
렌 남매나 다쓰야 형제나 모두 친부모가 없습니다. 결손 가정인 셈이지요.
공교롭게도 살아 생전 새 가족을 재혼으로 맞이했으나, 친부모가 모두 죽고, 남과 다름 없는 양아버지, 양어머니와 살아가고 있는 상태죠.  


새아버지를 죽이고 싶은
그런 오빠를 불안하게 생각하는 가에데
엄마를 죽인 것은 새엄마라고 되뇌는 다쓰야
엄마를 죽인 것은 자신이라고 자책하는 게이스케
<더보기> 

http://blogmania.tistory.com/147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