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를 가로지르는 반역의 정신 COOL
딕 파운틴.데이비드 로빈스 지음, 이동연 옮김 / 사람과책 / 2003년 10월
평점 :
절판


 

요즘 뜨는 문화코드 중의 하나가 ‘쿨’인 것 같다. ‘쿨하다’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단지 쿨하다고 이야기되는 스타일에 대한 묘사일 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뉘앙스로 이야기되면서 가치평가를 포함하고 있다. 그렇다면 쿨이라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왜 갑자기 이렇게 ‘쿨하다’는 것이 대세로 떠오르는가? ‘쿨’이라는 것의 실체는 과연 있는 것일까? ‘쿨’이라는 실체와 우리나라에서 말하는 ‘쿨’한 인간들은 과연 일치하는 것일까?

‘쿨’에 대한 국내 연구는 아직 구체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 같다. ‘쿨’이라는 담론이 거세게 일어남에 따라 대중 매체 속에서 무차별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몇몇 저널들 속에서 간단한 세대 분석만이 이루어지고 있을 뿐이다. 이 책은 그 중에서도 원래는 스타일이나 사려깊음, 삶의 환희 등을 함축하던 쿨이 어떻게 1960년대 히피의 소비주의를 거쳐 이것이 미국의 상업문화로 변질되어가는가를 분석하고 있다.

쿨은 문화적 산물이 아니라 오히려 문화적 산물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를 의미하는데 파운틴과 로빈스는 쿨에서 중요한 것은 반항적인 성격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쿨은 반항적인 태도이며, 당대 주류문화에서 정당성을 얻지 못하거나 적용되기 어려운 신념을 표현. 쿨은 역설적 초연함 뒤에 반항심을 숨기고, 권위와 직접 대면하기보다는 권위의 원천과 거리를 두려고 하는 삶의 태도라고 이야기한다.

쿨의 개성은 세 가지로 표현될 수 있는데 첫째, 나르시시즘 둘째, 역설적 초연함, 셋째는 쾌락주의이다. 나르시시즘은 외양을 과장되게 드러내는 행위를 통해 느끼는 도취감이고, 1970년대 이후 서구 소비자본주의의 도래에서 비롯되었다. 역설적 초연함은 감정을 숨기기 위해 역설적으로 반대되는 행동을 취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위기 상황에서 권태로움을, 모욕적인 상황에서 즐거움을 표현하는 태도를 말한다. 끝으로 쾌락주의는 개인의 육체적 자율성을 극대화하려는 성향이다.

파운틴과 로빈스는 쿨의 흔적은 서아프리카 고대 문명에서 발견되며 이러한 태도는 노예무역에 의해 미국과 유럽으로 이전되어 보존되고 적응되어 현재적 쿨로 재현되었다고 주장한다. 서아프리카의 전통에 대한 연구에서 ‘이투투 itutu'라는 개념을 쿨로 번역한 것은 미술사가인 로버트 패리스 톰프슨인데, 쿨이나 이투투는 친화력 있고 정다운 성격, 싸움과 분쟁을 해소하는 능력, 관대하고 우아한 자질을 포함한다. 흑인이건 백인이건 젊은이들 사이에서 폭넓게 쓰이는 쿨이라는 말에 감추어진 태도가 서아프리카 문화의 흔적이며, 여러 세기를 거치며 수백만 가지의 미세한 방식으로 가감되고 변형되었다 해도 쿨한 태도는 아프리카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러나 저자들은 ‘쿨’이라는 것이 이렇게 낙천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의미하는 것만은 아니라고 이야기한다. 현대의 소비자본주의 사회에서 이투투가 ‘쿨’로 변용되면서 그 의미 또한 변용되었다. 피터 스턴스는 사람들이 ‘쿨’이라는 말을 사용할 때는 “감정적으로 감싸줄 무엇이 필요할 때, 난처한 상황에 처해 자신의 전 감성을 보호해야 할 때”라고 이야기하는데, 만약 전통적인 아프리카적 쿨의 의미가 노예제 속에서 존속되었다면 그들의 고달픈 삶으로 인해 쿨이 크게 변형되었다고 말한 패터슨의 지적은 이런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파운틴과 로빈스는 과거에 쿨은 사회적 일탈과 반항의 표현으로 나타났지만 지금은 그 반항적 지위가 힘을 잃으면서 후기소비자본주의의 지배적 윤리가 되었다고 말한다. 패터슨이 지적한 것처럼 쿨은 고도 경쟁사회가 만들어낸 우울과 불안에 대한 방어기제로서 작동하고 있으며, 쿨이 사회적 위기 앞에서 유연한 기제로서 작용하고 있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인 것 같다. 걱정은 변화에서 생겨나며, 이 걱정을 치료하는 것이 바로 ‘쿨’이다. 파운틴과 로빈스가 문화혁명과 신자유주의 경제혁명을 동시에 가능케 한 것은 쿨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과도한 해석일 수도 있겠지만, 포스트모더니즘적인 조류의 일종으로서 쿨을 이해한다면 일리있는 해석으로 보인다. 파운틴과 로빈스는 쿨은 서구 사회에 자리잡은 오랜 모순인 노동의 필요와 유희 욕구 간의 심리적 구조가 명확히 해소되었다고 제안하고 있으며, 기존의 노동 윤리와 단절함으로써 모든 관점을 커버할 수 있고, 거친 메시지는 이제 쿨이라는 유연한 노동개념으로 대체되었다고 말한다.

우리 사회에서 쿨이라는 문화적 코드는 어떤 실체가 있다기보다는 무차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 같다. 그 원래적인 기원과 어원을 살펴보더라도 어떤 특정한 현상이나 실체라기보다는 삶에 대한 태도를 표현하는 말인 것 같다. 쿨이라는 한 글자 속에는 ‘냉정한’, ‘쌀쌀맞은’, ‘침착한’, ‘천박하지 않은’, ‘세련된’, ‘도시적인’,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등의 수많은 의미가 담겨있다. ‘핫’이라는 코드가 선호되는 시대와 ‘쿨’이라는 문화적 코드가 선호되는 시대가 다르듯이 ‘쿨’이 내포하는 함의는 고도의 선진자본주의의 도시에서 이루어지는 소비자본주의를 전제로 할 때 이해가 가능하다.

그러나 파운틴과 로빈스가 ‘쿨’이 원래의 반항적인 의미를 잃고 소비자본주의 시대의 유연한 기제로서 작용하기 시작했다고 주장한 것처럼, 현재 형성되어 있는 ‘쿨’이라는 담론은 원래적인 ‘쿨’이 아니라 스타일만 쿨한 가짜 ‘쿨’인 것 같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담론의 하나로서 쿨은 ‘역설적 초연함’을 잃고 상품을 판매하는 외판원처럼 기능하고 있다.

무엇이 쿨하고 무엇이 쿨하지 않은 것인가? 쿨하다고 여겨지는 특정 형태는 장소나 시간, 세대에 따라서 변할 것이다. 누가 쿨한 것을 결정할 것인가? 쿨을 둘러싸고 다양한 계층과 지위의 사람들에게 불균형은 존재하지 않는가? 원래적인 ‘쿨’이 그대로 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쿨’의 가치는 매우 매력적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 사회에서 진행되는 ‘쿨’에 대한 담론은 그저 이미지일 뿐이거나 대중매체 속에서의 재현인 것 같기도 하다. 게다가 저자들이 지적하는 대로 ‘쿨’이라는 것이 자신의 감정에 솔직하기보다는 그것에 대해 역설적인 초연함을 가장하여 세련되게 포장하는 태도이며, 또한 소비자본주의가 앞세우는 정서적 무기라고 한다면 그 씁쓸함도 떨치기는 힘들다.

아, 읽다보니 책 속에 여러 다른 분석이 나오던데 그것들도 함께 번역되면 참 좋겠더군. 이 사람들 말만 들어서야 믿을 수가 있어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교와 페미니즘
한국유교학회 엮음 / 철학과현실사 / 2001년 7월
평점 :
품절


유교와 페미니즘이 과연 공존할 수 있는 것인가? 유교의 반여성주의적인 경향, 혹은 유교문화에서 권력을 향유해온 남성들의 여성에 대한 배제가 과연 현대에 와서 여성주의를 받아들이고 여성과 함께 갈 수 있을 것인가?

유교의 긍정적인 가치를 포기할 수 없는 몇몇의 논자들이 여성주의적 관점까지 받아들이기 위한 고군분투는 계속되고 있는 듯 하다. 이 책에서도 유교를 뭉뚱그려서 그것을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양명학, 주자학, 성리학 등 여러 갈래로 나뉘는 유교사상과 페미니즘이 어떻게 대립하고 혹은 어떻게 만나는가를 분석하고있다. -_-;;; 솔직히 그 결과가 긍정적인 것 같지는 않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래하는 돌 - 김혜린 데뷔 20주년 기념 단편집
김혜린 지음 / 길찾기 / 2003년 12월
평점 :
절판


김혜린의 데뷔 20주년 기념이라는 이 책은 가격이 매우 hard한 관계로 살까말까 상당히 오래 망설이다 사게 되었다. 물론 컬러 에스프리를 제외하고 이전에 다 보았던 것이지만 항상 갖고 싶다고 생각하던 것들이어설라무네...

김혜린의 만화를 보면 항상 짜증이 난다. 주인공들도 딥따 모지리같고 그걸 보고 질질 짜고 있는 내 스스로도 바보같고, 이런 구질구질한 세상에서 지치지도 않는 예쁜 사람들을 20년동안 그리고 있는 작가도 짜증난다.

하지만 신파네, 어쩌네 하면서도 여전히 김혜린을 주시할 수 밖에 없듯이 우리 생도 어쩌면 구리고 찌질이로 살 수 밖에 없으면서도 포기할 수 없는 어떤 것이 있는 것이 아닐까...

로프누르, 잃어버린 호수에서 모래폭풍이 부는 순간에 웨이나 무당할매가 했던 말을 떠올려보면 "그러지 마라, 네 보기에는 하찮아도 그런 것이 아니다." "불쌍하게 생각해주소, 저들이 나빠서 그런게 아니오"... 이런 말들이 삶이라는 것이 사실은 희망가득차서 반짝거리지는 않는다는 것, 그 와중에서 어쩔 수 없이 알게 되는 진실인 것 같기도 하다.

그래서 나는 오늘도 김혜린 만화를 보면 짜증이 난다. ㅠ.ㅠ

그건 그렇고 왜 요새는 신작이 뜸한 것일까? 불의 검 완결짓고 쉬고 있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후쿠야당 딸들 1
유치 야요미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0년 12월
평점 :
절판


유서깊은 도시 교토, 그중에서도 400년의 노렌을 짊어진 후쿠야당의 딸들에 관한 이야기이다. 구석구석 고리타분한 가치관을 유감없이 만날 수 있다. 그러나 작가가 이야기하는 것은 그 고리타분함에 대한 답습이 아니다. 후쿠야당의 세 딸들은 자신의 세계를 만들어 가는데 결코 게으르지 않고, 마침내 원하는 것을 이루어낸다.

그러나 아이러니한 것은 전통과 의무 속에서 그렇게 발버둥치던 딸들이 그 과정을 자신의 2세 들에게 그대로 투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11권의 짧지않은 이야기 속에서 위로받았던 것에 비하면 매우 의외의 이야기인데 마지막 부분에서 막내딸 하나의 시선으로 본 언니들의 모습은 자신에게 집안의 전통과 부모의 바램을 강요하던 어머니의 모습과 다르지 않다.

작가는 하나를 통해서 그것을 매우 씁쓸하게 그려낸다. 마지막에 모든 것이 확 바뀌고 새로운 세대가 도래했어요... 라는 결론이 아닌 것이 무척 공감이 가는 부분이다. 만약 이 결론을 그래, 세상이 다 그렇지, 어쩔 수 없지, 그렇게 돌아가는 거지... 라고 받아들이지만 않는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피 메이크 업 13
아이카와 모모코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03년 12월
평점 :
절판


단순히 얼굴에 화장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인생을 화사하게 만들기 위해서 인생에 화장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미용사원 레이코와 마블 화장품 매장을 찾아오는 사람들이 엮어가는 이야기이다. 단순히 메이크업에 필요한 스킬이나 팁을 일러주는 것이 아니라, 화장을 통해서 모노톤의 인생을 아름답게 가꾸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이 맘에 들어서 지금도 보고 있다.

그러나 처음에 들었던 생각, 여자들을 치장하고 꾸미는 대상으로 대상화하고 있다는 기본적인 문제는 변함이 없다. 레이코 타가기의 '관리를 소홀히 하는 것 어쩌구... 그건 명백히 말해서 범죄입니다!!!'와 같은 대사는 내가 보기에 명백히 범죄다. 게다가 이제 권수를 더해가면서 정신분석에 가깝게 스토리를 전개하고 있는데, 그 방법이 굉장히 보수적인 혐의도 지울 수 없는데다가, 이제 슬슬 식상하고 뻔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