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주론/ 마키아벨리 

 

마키아벨리가 공직에 취임한 이듬해 피렌체는 루이 12세의 공격으로 전화에 휩싸인다. 중앙집권국인 프랑스는 공화국으로 분열되어 전력이 약한 이탈리아를 자주 침략했다. 외교업무를 보던 마키아벨리는 파리에 파견되어 화해를 위해 노력한다. 그 무렵 로마냐 지방에서는 체사레 보르지아가 등장하여 아버지인 교황과 프랑스를 등에 업고 이탈리아의 통일을 위해 세력을 넓혀간다. 피렌체의 외교관으로서 체자레를 만난 마키아벨리는 그의 대담성과 세심성, 기만과 잔인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단호한 태도 등에서 위대한 군주의 모습을 발견한다. 그러나 체자레가 후견인인 아버지의 죽음으로 실각하자 이탈리아의 안정에 기대를 걸었던 마키아벨리의 희망도 사라진다. 피렌체는 다시 혼란에 휩싸인다. 마키아벨리는 당시 권력자인 소데리니와 함께 국민병을 조직해 나간다. 그러나 또다시 혁명이 일어나서 소데리니는 몰락하고 메디치가의 전제정치가 시작된다. 마키아벨리는 구정권에 봉직했다는 이유로 투옥, 석방된 뒤 시골로 내려가 군주론을 집필한다. 군주론의 주인공은 다름 아닌 체자레 보르지아다.

군주론은 통치자를 위한 정치학이다. 책의 내용은 국가의 성격, 종류, 형성 과정, 유지, 패망에 대한 사례와 분석으로 채워져 있다. 저자는 강력한 군주와 자국 군대만이 나라의 영토를 지키고 백성을 지킬 수 있다고 믿는다. 자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서 군주는 때로 선보다 악을 택해야 하며, 관대하기보다는 인색해야 하고, 국익을 위해서라면 국가 간의 신의는 저버려도 된다. 백성에게 사랑받기보다는 두려움의 대상이 되는 것이 군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며, 용병은 애국심이 없고 외국 원군은 백해무익하니 국민병을 양성해야 한다. 군주만 바라보는 측근을 옆에 두고, 그들의 말을 듣되 일정한 거리감을 둔다. 요새와 성을 쌓는 것은 필요에 따라 가능하나, 성을 쌓는 일로 원성을 듣지 않도록 한다. 가장 강력한 요새는 백성의 미움을 사지 않는 것이다. 명성을 얻는 방법으로는, 전쟁을 계속하여 백성의 불만은 잠재우고 영토는 넓히는 것이다. 마키아벨리가 바라는 이상적인 군주상은 사자의 용맹함과 여우의 간악함을 지닌 지도자였다. 그는 잔인한 군주로 통했지만, 로마냐의 질서를 회복하고 그 지방을 통일하여 평화와 안정을 가져온 체자레의 통치 형태를 군주의 모범으로 삼는다. 그러나 잔악함을 남용하는 것을 경계한다. 시라쿠사의 아가토클래스는 자기 편을 배신하여 학살하는 등 잔악성을 남용하여 자비심을 저버렸고, 페르모의 올리베르토는 자신을 키워준 후견인을 살해하여 끝이 좋지 않았다. 저자는 이 사례를 통해 가해 행위는 단번에, 은혜는 오래도록 베풀어야 함을 강조한다. 무력일지라도 국가 전체를 위한 일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저항이 준비되지 않은 곳에서, 힘을 발휘하는 것이 운명이다.”(102P)

마키아벨리는 신이 인간에게 자유의지를 주었음을 상기시킨다. 세상일이 신의 계획대로 운명지어진 것이라고 보는 이는 애쓰지 않는다. 인간의 삶은 반은 운명이고, 반은 자유의지다. 운명은 강물과 같아서 범람하고 굽이치며 인간의 삶을 지배한다. 인간이 아무 일도 하지 않으면 노도에 휩쓸리고 만다. 그러나 평온할 때 제방을 쌓고 운명을 대비하면 그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마키아벨리가 군주론을 집필하여 메디치가에 바친 목적은 빈사에 빠진 이탈리아를 구하기 위함이다. 경제와 문화적으로는 뛰어나나 국력이 약하여 야만족의 침입에 시달리는 이탈리아의 무기력한 운명을 끝내고 영광을 회복하라는 충언이다.

무력만이 단 한 가지 남은 방법이라면 무력도 신성한 것이다.(105P)

마키아벨리는 도덕을 정치에서 분리시키고, 통치자의 잔혹하고 비열한 수단과 방법을 합리화한다. 그의 친구들은 군주론의 사상이 위험하다고 여겨 메디치가에 헌정하지 못하도록 만류한다. 군주론은 마키아벨리 사후 출간되지만 교황청에서 금서로 분류하여 판매를 불허한다. 이후로 군주론을 탐독한 이들은 나폴레옹, 히틀러, 무솔리니 등 세상의 권력자들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군주론이 쓰여진 배경을 도외시하고 자신의 권력욕을 채우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했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당위와 '어떻게 사는가'의 현상 앞에서 우리는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가? 이상적인 국가론을 논한 철학자들과 달리 현실적인 군주론을 펼친 마키아벨리의 책을 앞에 두고 잠시 숙고한다. 이는 비단 군주에게 국한된 이론이 아니기 때문이다. 가정, 학교, 사회, 정치, 기업 등 크고 작은 공동체에서 우리는 도리와 힘 사이의 힘겨루기를 경험한다. 군주론의 주장대로 현실 앞에서 당위를 저버려도 되는가? 마키아벨리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성공을 특별한 사례로 평가한다. 당위를 위해 본성을 버리는 일이 일반적이라면, 본성을 누르고 당위를 높이는 일은 특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이야말로 영광에 이르는 길임이 분명하다. 마키아벨리가 꿈꾼 통일 왕국의 군주는 겸허하고 인자하며 정의를 사랑하고 잔혹을 미워한 군주,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였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