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

 

1. 다섯 번째 임무, 로버트슨 데이비스, 1970 

 

데트포드 3부작의 첫번째 소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76926&cid=41773&categoryId=41782\

국내 미출간

 

 

 

 

 

 

 

 

 

 

 

 

 

 

 

 

국내 출간작

숨어 있는 남자, 한기찬,

 

 

 

 

 

 

 

 

 

 

 

 

2. 도깨비, 미셸 투르니에, 1970

국내 출간

<마왕> 신현숙 지학사 1986

<마왕과 황금별> 이원복 종문화사

 

3. 기념일들, 우베 욘존, 197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76928&cid=41773&categoryId=41782

 

국내 미출간

출간된 다른 도서

 

 

 

 

 

 

 

 

 

 

 

 

 

 

 

4. 줄리어스를 위한 세계, 알프레도 브라이스 에셰니크, 1970,  페루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76929&cid=41773&categoryId=41782

 

 

국내 미출간

 

5. 새장에 갇힌 새가 왜 노래하는지 나는 아네, 마야 앤젤루, 미국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76930&cid=41773&categoryId=41782

  

다른 출간본

 

 

 

 

 

 

 

 

 

 

 

 

 

 

6. 가장 푸른 눈, 토니 모리슨, 197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76931&cid=41773&categoryId=41782

 

 

 

 

 

 

 

 

 

 

 

 

 

 

 

7. 풍요의 바다, 미시마 유키오, 1970

the sea of fertility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76932&cid=41773&categoryId=417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악화
시마다 마사히코 지음, 양윤옥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무라카미 류보다 덜 본능적이지만 조금 더 재미있다
시마다 마사히코가 이렇게 재미있는 작가였다니 아니 이야기꾼으로서 재능이 이렇게 상당했다니 세삼 느낀다 초기 작품들이 기억이 나지 않지만 자기 이야기를 한다는 재미밖엔 없었는데
악화는 제법 사회를 고민하지만 돌파구 없는 무기력한 일본의 현모습을 제대로 직시하고 있다
새로운 통화 피안 코뮌 등 대안적 커뮤니티는 고진의 트랜스크리틱을 떠오르게도 한다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고 했던가
양화는 몰아내어 지지 않는다 양화는 복귀하려고 한다 가장 현실적인 음모론의 소설화이다 2부가 씌여지고 있길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스 론리하트
너새네이얼 웨스트 지음, 이종인 옮김 / 마음산책 / 2002년 10월
평점 :
품절


복원된 미국문학의 고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으로 가는 이주의 계절 아시아 문학선 6
타예브 살리흐 지음, 이상숙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타예브 살리흐의 <북으로 가는 이주의 계절>
초반부는 그럭저럭 중반부은 갸우뚱 후반부에는 맥이 풀리는,
수단 출신으로 영국에서 엘리트 교육을 받은 작가의 자기반영적인 동시에 영국-식민지 근대화의 허상을 고발하는 듯하지만 수단의 어리석은 민중들에 대한 자기 연민의 그림자도 깊이 드리워 있다
아프리카문학(?)을 싸잡아 규정하긴 그렇지만
서구의 정전 내지 영미 문학의 고전이란 이념이 있다면 거기에 비견되기엔 어렵다
탈-식민주의 담론으로 설명하긴 그럴듯하겠다
오히려 프랑스 작가들에게서 두드러지는 투명한 문체의 영향이 두드러진다
조지프 콘라드 운운하며 <어둠의 핵심>에 대한 아프리카의 응답이란 제사가 좀 웃기다 콘라드가 슬퍼하겠다 타예브 살리흐는 주인공 화자와 무스타파의 삶을 현재와 과거식으로 분리해 비교적 수준 높은 담화를 전개시키지만 이는 사실 도착적 엘리트주의자의 뒷담화에 머무르고 무스타파가 사라진 후 마을에서 벌어진 뒷이야기는 무스타파와는 무관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화자도 무스타파도 길을 잃고 헤매인다
근대화 교육을 받지 않았으면 불가능했을 소설의 기본 구조
불가피하게 이식된 서구적 관습들을 전경화 시켰다는데 의미를 찾을수 있겠다
무스타파의 최후를 끝까지 모색하지 않음이 이 소설의 폐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기여 잘 있어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9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김욱동 옮김 / 민음사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헤밍웨이 초보자들이 접하기에 가장 무난한 책이다 가급적 개인의 로맨스로 읽히는 독법은 피해갔으면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