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를 기다리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도는 끝이다 끝을 확인하고 싶어하는 자와 먼저 끝을 보고 싶어하는 자 종말을 앞둔 사람의 생각은 고도를 여러가지로 변환시키고 제각각 끝에 대해 생각한다 끝은 결말이고 죽음이 될수도 있고 죽음 이후의 구원이 될수도 있다 끝날때까지 끝난게아니라는 말은 바로 여기에 적용된다 블라디미르는 소년에게 전하라고 한다 소년이 자신을 만났었다고만 말해라고 얼마나 기다려야하는지 언제 오는지에 관심이 없다 우리가 끝으로 향해 가는건 명확하지만 그게 언제인지 굳이 알려고 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명확한 사실에 대한 불명료한 기다림의 의식이 삶의 세부 혹은 전부를 채운다 고도는 온다 결국 단 베케트의 연극은 고도가 오기 전까지만 계획되었다 아니 수많은 고도들이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에게 다녀갔다 그들은 언제 끝날지도 모른채 시작된 존재다 끝의 강렬함때문에 시작되는것도 모르고 늘 시작만 하다가 우리는 멈춰선다 아직 끝은 아니지만 멈춰섬 정지의 쪽에 서서 가끔 관망하고 관조하고 적극적으로 개입한다 끝의 반복이 될수도 있고 또 매번 시작으로 끝을 채워나가는 쪽도 있다 어느것도 좋다 고도를 기다리는 상황은 어제도 오늘도 바로 지금 이 순간에도 있다 아이가 울고 있다 우리는 아이의 울음이 그치기를 기다린다 곧 고도가 올까 아이는 울음을 시작했지만 아이가 기다리는 고도와 우는 아이를 바라보는 우리의 고도는 다르다 그 기다림의 성질도 고도의 종류도 다르다 아이는 한참 만에 조용해진다 우리는 기다린다 곧 듣게될 웃음소리를 혹은 졸음에 겨운 숨소리를 끝은 아니지만 기다릴만한 것들로 매순간 매번 다른 종류의 기다림이 시간을 채운다 그 순수하고 때론 어이 없는 순간의 연속 베케트는 어떤 상황을 통해 그것을 추적해보고 싶어했다 연출자의 시선으로 보고 싶어한다 가공된 공간속 연기를 하는 배우들의 조마조마하면서도 반쯤 달관한 아주 광대처럼 혹은 슬픈 낙오자 허무한 독설가로 변신하면서 인간이라는 종의 보편적 진실의 순간을 슬쩍 잡아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