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알약 - 증보판 세미콜론 그래픽노블
프레데릭 페테르스 글.그림, 유영 옮김 / 세미콜론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혀 드라마틱하지 않게, 너무 무거운 독백으로 응수하지도 않은 접근법이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다 아니 그것은 만화의 장점 같기도 하다 

응수하지 않고 사태를 차근차근 이어나가다보면 쓸데 없는 말이 빠지고 진심과 진심의 토막이 그 틈을 적절히 찾아 들어간다 

 

"페테르스 씨가 에이즈에 걸릴 가능성은, 이 방을 나갔을 때 흰 코뿔소와 마주칠 가능성 쯤으로 보시면 되겠지요." 


코뿔소, 그리고 메머드는 가혹한 운명 혹은 에이즈에 걸린 아이를 둔 역시 양성보균자인 카티를 바라보는 프레데릭의 불안 또는 동정에 대한 객관적 상관물 같은 것, 아니 뭐라 말해도 설명 불가능한 불안 같은 것이다, 메머드가 코뿔소를 대체하면서 막연한 불안은 정리되고 있긴 하지만 말이다 

 

에이즈 양성 보균자인 애인과 그녀의 아이와 함께 살아간다는 것이 스위스에 사는 만화가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지를 우리는 천천히 들여다 보게 된다 그런 내적인 응시는 곧 지금의 우리에게도 필요한 응시이다 

 

사태는 그렇게 비관적이지도 그렇다고 낙관적이지도 않다 

주인공은 늘 과학이나 의학기술 혹은 자신이 의식하지 않지만 남들 주변인들에 대한 의혹과 비판으로 무장한 어떤 권력의 움직임에 민감해하고 그것이 부당하다고 생각하지만 그속에 자신이 개입하게 되었지만 이를 특별히 거대한 불안이나 치료해야할 암적인 존재로 인식하지 않는다 그저 무감각한 일상생활처럼 담배를 한 대 피워 물면서 차근차근 정리해간다 

 

어떤 것들도 삶의 일상들처럼 하나씩 둘씩 정리되어 하루가 마감되는 것인데 그러한 마감을 만화작업으로 그리면서 그는 이런 자신의 고유한 이야기 전개 방식에 파격을 주지 않은 것이다 

 

불함리, 부조리, 부조화스러움은 일상과 삶의 하나의 요소일 뿐이다란 인식. 그리고 그것을 인정할 수 있는 의지를 인정하는 것. 그것이 이 만화를 특별하지만 평범하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