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어 - 꼿꼿하고 당당한 털의 역사 사소한 이야기
커트 스텐 지음, 하인해 옮김 / Mid(엠아이디) / 2017년 1월
평점 :
절판


"헤어"(커트 스텐, 하인해, MID, 2017)
부제가 '꼿꼿하고 당당한 털의 역사'를 읽었습니다.

책을 읽기전에 얼핏 생각이 설마 머리털만은 아닐테고 하면서 제가 한 생각은 영화 '색계'에서 보였던 탕웨이의 겨드랑이 털이었습니다. 마냥 야하지만은 않았지만, 적어도 제게는 그간 경험하지 못했던 강렬한 충격이었습니다. 아마도 1940년대 중국의 시대적 배경을 고려하면 당연한 것일테고, 털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도 시대에 따라 변한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일것 같습니다.
책에도 나오지만 1486년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에서 비너스는 길고 매력적인 금발을 제외하고는 털이 거의 없는 성숙한 여인의 몸을 이상적인 것으로 그리고 있습니다. 물론 영어 단어 hair로 흔히들 연상하는 머리에 난 털도 시대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여집니다.

저자인 커트 스텐은 지난 30년 동안 털을 연구한 학자로 20년 간 학교에서의 연구와 존슨 앤 존슨에서 피부생물학 디렉터로 산업계 근무 경력까지 갖고 있는 분이라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책을 쓰게 된 계기가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나치게 협소하게 '털'에 대해 해석하는 것을 바로잡기 위해서였다고 합니다.

p.88
털은 인간다움과 문명을 표현하거나 과시하고 교육하는 데 사용되었을 뿐 아니라, 반대로 인간다움을 말살시키기 위해서도 널리 쓰였다.

잔 다르크가 화형당하기 전에도 앤 불린도 참수당하기 전 머리가 깎이고, 아우슈비츠 수감자들은 입소 등록후에 머리를 깎아버렸다고 합니다.
반면에, 헤어스타일이 당신이 누구인가, 당신을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받아들였으면 하는 표현이기도 합니다. 영화 "왕과 나"에서 왕의 역할을 했던 율 브리너의 삭발한 머리는 건강한 섹시미와 권위와 성공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경험많은 저자는 진화의 관점에서 털없는 원숭이로서의 인간의 얘기에서부터 가발산업, 미용산업, 털로 하는 예술 작품, 테니스 공의 재료에서 해양 기름 유출 사고의 흡착제, 범죄현장의 증거자료까지 다양한 주제를 종횡무진하면서 다룹니다.
한 달에 보통 1센티미터씩 자란다는 사람들 대비 저는 2센티미터는 자라는 것 같아 이상한가라는 생각도 해봤습니다.

p.52
예를 들어, 속눈썹은 30일 동안만 자라기 때문에 길이가 1센티미터도 안 된다.

중국 소설가 위화의 "허삼관 매혈기"에는 이런 표현이 있습니다.
"좆털이 눈썹보다 나기는 늦게 나도 자라기는 길게 자란단 말씀이야."  
물론 허삼관을 통해 위화가 보이려했던 것은 중국 사회의 불평등이었습니다만, 과학적 사실로도 증명이 됨을 알게 되었습니다.

영미문화권에서 양모의 이야기가 삶의 중요한 부분이 되어 언어에도 흔적을 남겼다는 저자의 관찰도 눈여겨볼만했습니다.
'직물과 같은 삶의 구조fabric of life', '베트처럼 대대로 물려주는 가보heirloom'에서 '북통처럼 왔다 갔다 하는 우주왕복선space shuttle'.

예술가의 붓에 대해서도 붓은 털로 만들어진다는 것도 상세한 얘기가 나오는데, 저자가 서구문화권에만 집중하다보니 중국 왕희지가 가끔 사용했다는 '서수필'(쥐수염으로 만든 붓으로 마리당 8개 정도가 나오다보니 붓 하나를 만들려면 200마리 이상이 필요) 얘기같은 부분이 나오지 않은 것은 조금 아쉽습니다.

옮긴이의 글을 보면 원서 제목인 "Hair: A Human History"을 두고 '헤어'와 '털'을 두고 고민했다는 부분이 나옵니다. 저도 아마 똑같은 생각을 했을 것 같습니다. 포유류가 털이 나기 시작한 4억 년 전에서부터 털이 인간의 삶에 이제까지 해온 그리고 앞으로의 역할에 대해서 한 권의 책에 오롯이 담긴 저자의 정성과 애정을 보니 책값이 전혀 비싸게 느껴지지 않습니다.
이 책을 추천하는 데 '터럭' 끝만큼도 사심이 없음을 밝힙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