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은 곧 마음이다. 내 시선이 내 생각과 관심을 보여준다는 이야기다. 다른 동물들에 비해 인간 눈의 흰자위가 그토록 큰 이유는 시선의 방향을 드러내기 위해서다.
‘정말 후회하지 않겠느냐‘는 걱정에 대해서는 심리학적으로 더욱 간단히 정리했다. 후회는 ‘한 일에 대한 후회regret of action‘와 ‘하지 않은 일에 대한 후회regret of inaction‘로 구분해야 한다고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 심리학과의 닐 로스Neal J. Roese 교수는 주장한다. ‘한 일에 대한 후회‘는 오래가지 않는다.
열등감에서 벗어나기 위해 ‘적‘을 만드는 것은 가장 게으른 방식이다. 내면을 향한 칼끝을 바깥으로 향하는 것이다. 어떤 사회 이슈든 양극단에 치우친 이들의 이해하기 힘든 공격성과 적개심에는 이같은 ‘투사 Projektion‘의 메커니즘이 숨어 있다. 부와 권력을 한 손에 쥐고도 여전히 적을 만들어야 마음이 편해지는 이들이다. 그러다 죄다 한 방에 훅 간다.
의사소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순서 주고받기 turn-taking‘다. 타인의 순서turn‘를 기다릴 수 있어야 진정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인간의 의사소통 방식이 다른 포유류와 구별되는 것은 바로 이 ‘순서 주고받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기가 태어나면 엄마는 바로 이 ‘순서 주고받기‘를 제일 먼저 가르친다. 엄마가 인형 뒤에 숨었다가 갑자기 ‘우르르 까꿍‘ 하며 나타나는 놀이는 인종에 상관없이 모든문화에서 발견된다.
내 오래된 독일 생활에서 참 많이 들었던 단어가 ‘리스펙트Respekt‘ 다. 이에 상응하는 한국어는 ‘존경‘, ‘존중‘쯤이 된다. 그러나 ‘존경‘, ‘존중‘은 어딘가에 ‘상하 관계‘가 숨겨져 있다. ‘리스펙트‘의 화용론用論은 사뭇 다르다. ‘수평적 상호작용‘의 구체적 전제 조건이 되는 ‘인정 Anerkennung‘의 맥락에서 쓰이는 단어다. ‘나는 당신을 참으로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혹은 ‘나는 당신 의견을 듣고 내 생각을 바꿀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와 같은 열린 상호작용의 규칙이 바로 ‘리스펙트‘다. 서구 사회의 일상에서 강조되는 ‘매너‘ 혹은 ‘교양‘이란 바로 이 리스펙트의 활용 규칙이다.
은퇴하면 바로 죽었던 시절이 있었다. 그래서 아무 생각 없이 은퇴했다. 지금 우리 사회의 모든 기준이 바로 그 시절의 가치에 맞춰져있다. 삼십여 년을 더 살아야 하는데 우리 모두가 지금 아무 생각 없다. 바로 앞선 세대의 ‘노욕老慾‘을 보면서, 도대체 왜 저럴까 싶었던 것이 ‘짤리고 보니 다 이해된다고도 했다. 특히 정치·경제권에서 ‘저렇게까지 하고 싶을까‘ 했던 선배들에게 주어진 그 기회‘가부럽다고도 했다. 이렇게 오래 살 줄 아무도 몰랐기 때문이다.
이제는 좀 천천히 가도 된다. 직선의 모더니티‘는 평균수명이 채 50세도 안 되던 시절의 이데올로기다. 빨리 죽으니, 서둘러 가야했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재수 없으면(?) 백 살까지 산다. 평균수명 100세 시대에는 ‘하면 된다‘가 아니다. 되면 하는 거다! 구불구불 돌아가며 살아야 동화처럼 오래오래 행복하게 사는 거다. 부딪히면 돌아가는 ‘곡선‘을 심리학적으로는 ‘관대함‘이라 한다. 오늘날 한국인들이 가장 못하는 거다.
책을 끝까지 다 읽어야 한다는 강박에서 자유로워야 책을 많이 읽습니다. 책도 많이 사게 됩니다. 동시에 여러 가지 책을 펴놓고 읽어도 됩니다. 좋은 책은 ‘새끼를 많이 치는 책‘ 입니다. 읽다 보면 더 읽고 싶은 책들이 고구마 뿌리처럼 딸려 나오는 책이 좋은 책이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래야 책장을 볼 때마다 기분이 좋아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