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잡을 처음 쓰는 날 사회탐구 그림책 8
이브티하즈 무하마드.S. K. 알리 지음, 하템 알리 그림, 신형건 옮김 / 보물창고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지의 것, 익숙하지 않은 잘 모르는 것을 대하면, 사람들은 이것이 자신에게 위험한 것인지 아닌지 빠르게 판단하고 단순한 이분법적 결론을 내린다. 그래서, 나와 다른 사람을 보면, 쉽게 타자화하고 나와의 차이에 대한 편견, 선입견을 가지고 판단하고 평가하게 된다. 그러면서 차별이 시작된다.

<히잡을 처음 쓰는 날> 이란 그림책은 우리에게 조금은 낯선 이슬람문화에 대해 아이들의 눈 높이에 맞춰 설명해 주고 있다. 문화의 다양성과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는 일이 얼마나 자랑스럽고 아름다운 일인지 주인공의 시점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주인공의 언니, 아시야는 하늘같이, 바다같이 파란 히잡을 고르고 처음으로 히잡을 쓰고 학교에 갑니다.

마치 공주가 된 듯한 기분으로 두 자매는 학교에 등교합니다.

히잡을 쓰고 학교 가는 날이 학교에 처음 가는 날 중 가장 아름다운 날이라고 말할 만큼 기대하고 기뻐하는 날이네요.

하지만 학교에서 다른 학생들은 낯선 모습에 호기심을 가지기 하고 놀리기도 합니다.

주인공은 언니의 하늘 같은 히잡이 부끄럽거나 숨길 것이 아니라고 이야기합니다.

히잡을 쓴다는 것은 강해진다는 뜻이니까요.

언니의 히잡이 햇살 눈부신 날의 하늘같이 푸르고, 바다가 하늘을 향해 물결치듯 강하게 빛납니다.

엄마는 히잡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어도, 우리가 누구인지 스스로 알고 있으면, 언젠가 그들도 알게 될 것이라고 이야기해 줍니다.

어떤 사람들은 히잡을 잘 이해하지 못할 거라고, 엄마가 말했어요.

우리가 누구인지 스스로 알고 있으면, 언젠가는 그들도 알게 될 거래요.

<히잡을 처음 쓰는 날> 중에서

때로는, 문화의 차이가 차별이 되고 상처받는 말을 듣기도 하지만,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는 것의 중요성.

다양성이 존중되고 인정받는 문화의 아름다움.

이렇게 차별하는 사람들의 날선 말들은 우리가 아닌, 그런 말을 한 사람들의 몫이라는 차별하는 사람들에 대한 시각과 자신을 지켜가는 '정체성'에 대한 이야기가 마음에 와닿는 책이었습니다.

초등학교 저학년들과 이슬람문화를 비롯하여 다른 문화에 대해 잘 모르고 했든 편견, 차별 등에 대해 이야기하며 문화의 다양성에 대해 다룰 수 있는 좋은 책이었습니다.

특히, 이 책의 주인공이 실존 인물이 쓴 동화책이라 더 의미 있게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이 동화책의 글을 쓴 '이브티하즈 무하마드'는 2016년 리우올림픽에 미국 국가대표 사상 최초로 히잡을 쓰고 출전, 여자 펜싱 사브로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땄습니다. 그 후, 자서전도 쓰고 그녀를 닮은 바비인형도 출시되었다고 합니다.

어린아이들에게 롤 모델이 있다는 것

특히 소수 집단이라 생각되는 문화 배경을 가진 여자아이들에게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사회적으로 성공한 여성 롤 모델이 있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 책이 많은 아이들에게 '나 자신 그대로도 괜찮다'라는 푸르른 희망의 메시지를 주었으면 합니다.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커커스 리뷰> 추천도서

★<퍼블리셔스 위클리> 추천도서

★<북리스트> 선정도서

★<스쿨 라이브러리 저널> 추천도서

#히잡을처음쓰는날

#보물창고

#이브티하즈무하마드SK알리

#하템알리

#컬처블룸서평단

#컬처블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