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 동녘문예 6
김산 지음, 조우화 옮김 / 동녘 / 199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난 이 책과 <체 게바라 평전>을 비슷한 시기에 읽었다. 덕분에 여러 가지로 비교되는 두 사람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었다.

'모순으로부터 자유로웠던 세계가 과연 존재했던 적이 있었던가, 또 그것이 가능한가, 불가능하다면 왜 불가능하고, 가능하다면 어떻게 가능한가?

젊은 시절, 이런 문제로 고민해보지 않았던 사람이 있던가? 하지만, 이 문제의 해답은 누구도 쉽게 알 수는 없을 것 같다. 하지만, 이 문제에 대해서 '김산'과 ' 체 게바라'는 '행동과 실천'이라는 방식을 택한 사람들이다. 한 시대의 지식인으로서 시대의 모순에 대해서 고민을 해보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하지만, 그러한 고민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맞서 싸워나가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두 사람은 여러 가지로 비교가 된다. 둘 다 의학을 공부했으며, 둘 다 조국을 위해서 나아가서는 전세계를 위해서 타국에서 생을 마쳤다. 그러나, 내 경우에는 <체 게바라 평전>을 읽을 때와 <아리랑>을 읽을 때와는 느낌이 너무나 달랐다. <체 게바라 평전>의 경우는 실감도 안가고 그의 행동이 절실하게도 느껴지지 않았다. 하지만, 이 책 <아리랑>의 경우에는 책을 읽는 도중에 책을 덮고 한숨을 내쉬면서 천장을 바라보고거나 창 밖을 바라보는 일이 자주 있었다. 너무나 절실했기 때문이다. 아마도 그 것이 우리의 이야기였기 때문이었을 것 같다.

저기 저 멀리 지구 반대편의 대척점 어느 곳에서 이름도 복잡한 사람들, 그리고 말로만 들었던 투쟁해야하는 세력이 아닌 우리의 아버지의 아버지가 늘 들어오고 아직도 우리의 동포들이 사는 만주라는, 상해라는 그리고 연해주라는 곳에서 일본 제국주의와의 싸움은 너무나 절박하게 나에게로 다가왔다. 조국강토의 식민화라는 모순에 대해서 끊임없이 고민하고 행동했던 '김산'은 오늘날 실천적 지식인이 부족한 우리의 역사현실에서 커다란 귀감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