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를 읽는 시간 더 나은 미래, 과학 Pick! 3
제시카 스톨러-콘라드 지음, 이장미 그림, 이현경 옮김 / 픽(잇츠북)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후 (2).JPG

 

 

윤이 좋아하는 잇츠북의 픽 시리즈!


이번에 더 나은 미래, 과학 Pick! ③이 출간되었다고 해서 읽어보았어요.


잇츠북을 좋아하는데 특히나 과학 Pick을 좋아해요.


과학에 관심이 많은 윤이라서요.


방학이라 독서에 집중하기로 했는데 새로운 책에 늘 목말라하거든요.


윤을 위한 새로운 과학 Pick인가봐요~ㅎㅎ



<날씨를 읽는 시간>은 원리와 실험으로 배우는 기상 과학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어요.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날씨를 재미있게 배울 수 있어서 기대되었어요.

 

 

기후 (3).JPG

 

 

우리와 늘 함께하는 날씨


그 속에 숨어 있는 과학과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책



뉴스를 보면 꼭 날씨에 관해서 보도를 하잖아요.


윤맘도 하루에 한번은 꼭 기상청에서 날씨를 확인하고요.


그만큼 날씨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날씨를 읽는 시간>은 기상 상태가 어떻게 해서 나타나는지


그 원리를 차근차근 설명해 주고, 실험을 통해 배울 수 있어요.

 

 

기후 (4).JPG

 

 

초등 4, 5, 6학년 과학 교과와 연계해서 읽으면 좋아요.


오랫동안 소장하면서 읽으면 좋은 초등 교과 연계 도서예요.


고학년이 되면 시간적인 여유가 없어서 책을 읽을 시간도


많지 않은데, 교과 연계 도서를 읽으면 더 유용하더라고요.


책도 읽고 교과 내용도 배울 수 있으니까요^^

 

 

기후 (5).JPG

 

 

날씨의 기초


가장 흔한 날씨


날씨와 자연재해



이렇게 크게 3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어요.


바람, 구름, 비, 눈 등 가장 기본적인 날씨에서부터


허리케인, 토네이도, 얼음 폭풍 등 자연재해와 관련된 날씨까지


다양한 날씨의 원리를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알아봅니다.


날씨 속에 숨어있는 과학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기후 (7).JPG

 

 

날씨에도 과학이 숨어 있어요.


이렇듯 과학은 일상 생활에서 아주 유용하고 가까워요.


이 책을 통해서 날씨와 과학에 대해서 알게 되고


또한, 과학이 어려운 것만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어서 더욱 좋았어요.


비는 왜 오는지, 구름은 어떻게 생기는지, 날씨는 왜 바뀌는지...


평소 이러한 궁금증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어요.


<날씨를 읽는 시간>을 통해서 날씨와 관련된 궁금한 것들을


과학적 원리로 접근하여 차근차근 배워보고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기후 (8).JPG

 

 

기상학, 기상 관측소처럼 중요하고 핵심 어휘에는


분홍색으로 색이 칠해져 있어요.


이렇게 해서 꼭 알아야 할 용어를 다시 한번 체크할 수 있어요.



기상학은 지구의 대기를 연구하는 과학의 분야로


대기가 어떻게 변하는지, 그래서 날씨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해요.


이러한 기상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기상학자 덕분에


일기 예보를 할 수 있고, 우리는 비나 눈, 태풍 등에 대비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기후 (9).JPG

 

 

윤은 지구온난화에 관심이 많아요.


지구가 아프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환경오염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작은 실천하고 있어요.


지구 온난화도 대기와 관련이 있다니~!!


이 책을 통해서 지구 대기에 대해 더 많이 배우고 알게 되면


지구 온난화를 늦출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겠죠?!


평소 윤이 관심있어하는 분야와 연계해서 생각해볼 수 있어서


더욱 흥미로웠어요.

 

 

기후 (12).JPG

 

 

<날씨를 읽는 시간>은 실험을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날씨 속 과학 원리를 확인하고 배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요.



기초실험 - 심층탐구 - 야외활동



이렇게 3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실험과 탐구, 그리고


직접 야외활동을 통해서 배울 수 있어요.


과학 실험을 즐거운 놀이로 생각하며 직접 부딪혀보고


과학자처럼 생각하며 과학 탐구란 무엇인지 스스로 깨닫게 될 거예요.

 

 

기후 (14).JPG

 

 

이번 설 때 눈이 참 많이 왔죠!


그래서 이 부분을 더욱 재미있고 흥미롭게 읽었어요.



눈이 내리려면 공기 중에 수분이 있고, 


온도가 낮아야 한다는 두 조건을 만족해야 해요.


눈도 기본적으로는 비와 똑같은 과정으로 만들어지는데


눈은 따뜻하고 축축한 공기가 상승하면서 매우 차가운 공기를 만나야 해요.


이때 차가운 공기는 물의 어느점보다 낮을 만큼 차가워야 해요.


대기가 5℃보다 높으면 비나 진눈깨비가 되고 그보다 낮으면 눈이 돼요.



이렇게 과학적인 원리를 차근차근 배우니까


어렵게 느껴지지가 않았어요.

 

 

 

지구 대기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은 자연스럽게


기후 변화를 이해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기후 변화에 대처하는 방법을


고민해보고 노력을 기울일 수 있게 되는 것이죠.


평소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서 개인과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생각해보고 실천하고 있는데


<날씨를 읽는 시간>을 통해서 다시 한번 점검해보고


더욱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날씨에 대해서도 배우고, 기후 변화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수 있는


의미있는 시간이었어요.


다음 잇츠북 과학 Pick은 어떤 주제로 신간이 나올지 기대됩니다!


꼭 읽어볼래요^^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작성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