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와 미술에 대해 이야기하는 법 - 어른과 아이가 함께 배우는 교양 미술
프랑수아즈 바르브 갈 지음, 박소현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윤과 함께 미술전시회 다니는 것을 참 좋아하는 윤맘이에요.

그런데 지금은 모든 것이 멈춰버렸어요.

슬기로운 집콕생활을 해야 하는 요즘,

집에서도 배우는 미술 도서를 만나보았어요.

밖에 나가지 않고도 집에서 편안하게 윤과 함께 배우는 교양 미술책,

온 가족이 읽으면 더 좋을 것 같아요.



아이와 미술에 대해 이야기하는 법







#미술 작품, 어떻게 감상해야 하나요?



윤에게 제가 늘 하는 말이 있어요.

"예술에는 정답이 없다."

미술 작품을 보고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든

틀린 답은 있을 수 없다고 항상 얘기하거든요.

그렇다고 제가 예술에 조예가 깊은 건 아니고요.

이제 윤도 제법 컸으니 윤도 저도 미술 작품을 보는 새로운 시각이

있었으면 좋겠고, 미술 작품을 어떻게 감상하면 좋을지

배워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요.

어른과 아이가 함께 배우는 교양 미술, 아이와 미술에 대해 이야기하는 법이

좋은 가이드가 되어줄 것 같아요.







#어른과 아이 모두를 위한 미술 가이드



그 동안 미술 전시를 보러 갈 때면 주로 도슨트를 듣거나

전시체험학습을 이용했어요.

하지만 어린이를 위한 설명이 아니어서 어려울 때도 있고

사람이 많아서 잘 듣지 못하는 경우도 생기더라고요.

<아이와 미술에 대해 이야기하는 법>을 통해서 저 스스로도

미술 작품을 보는 안목을 기르고 아이도 어떻게 접근하면

좋은지 배워볼 수 있었어요.



제일 마음에 와 닿았던 점은 '아이의 잠재력을 믿으세요'라는 부분이었어요.

스스로 그림을 감상하고 사고하는 단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옆에서 잘 이끌어줘야겠어요.







#미술 작품, 어떻게 감상해야 할까



윤과 함께 미술관이나 전시회를 다니며 윤맘도 처음

미술 작품을 접하게 되었어요.

그 동안은 그저 교과서에 나오는 작품들을 보는 것이 전부였지요.

하지만 미술관이나 전시회에서 직접 작품을 보는 것은

신선한 충격이었을 정도로 사람을 매료시키는 무언가가 있더라고요.

그렇다고 미술적인 안목이 생겨난 건 아니지만요.

미술을 어렵게 생각하지 않고 친근하게 느끼게 되었다는 것이

가장 큰 수확인 것 같아요.

그리고, 당대의 현실에 대한 배경 지식이 있다면 작품을

이해하는데 더 도움이 된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지요.



<아이와 미술에 대해 이야기하는 법>을 통해 미술을 대하는 방식과

그림을 보는 방법, 그림에 다가가는 방법을 배워보았어요.

이렇게 세세하게 가이드가 되어 있어서 실제로

미술관이나 전시회에서 작품을 감상할 때 유용한 팁이 될 것 같아요.






#에밀 졸라의 초상(Portrait of Emile Zola)

에두아르 마네 (1868년)



프랑스 오르세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마네의 에밀 졸라의 초상이에요.

오르세 미술관은 루브르박물관과 더불어 윤이 꼭 가보고 싶은 미술관 중 하나예요.

오르세 미술관은 모네의 작품들도 볼 수 있잖아요.



에밀 졸라의 초상을 보면서 제일 눈길을 끈 건 벽에 걸려있는 그림이었어요.

스페인 화가 벨라스케스가 그린 <바쿠스의 승리>, 2대 우타가와 구니아키의

판화작품이 보이는데 이것은 스페인 미술과 일본 목판화가 큰 열풍을

끌었던 당대의 경향을 엿볼 수 있어요.

그림을 통해서 당대의 경향까지 알아볼 수 있는 것은

참으로 멋진 일인 것 같아요.

이렇게 해서 작품을 이해하는 눈이 +1 되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