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탄소 사회의 종말 - 인권의 눈으로 기후위기와 팬데믹을 읽다
조효제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외파병. 기후변화

기후-갈등 연계를 논리적으로 확장시키면, 갈등을 넘어 평화를 이루려는 노력에 기후위기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때 많이 인용되는 증거가 있다.
유엔은 전쟁이나 내전을 겪은 뒤 상황이 아직 안정되지 않은 지역에 평화유지군을 파견하여 평화 구축의 여건을 조성하는 활동을 벌인다. 그런데 전 세계에서 국제 평화 유지 인력이 제일 많이 파견되어 있는 10개 나라 중 8개국이 기후변화의 영향에 크게 노출되어 있다고 한다. 소말리아, 콩고, 남수단, 아프가니스탄, 말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수단(다르푸르), 아베이Abyei(남수단)가 그런 나라들이다. 다시 말해 무력 분쟁이 벌어졌거나 아직도 불안한 지역일수록 기후변화와 연관성이 큰 지역이므로 이런 지역에서는 평화 구축을 위한 정책과 기후위기 대응 정책이 반드시 결합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625
기후와 관련된 안보 리스크가 근년 들어 대폭 늘어났다는 사실은 평화 구축을 위한 국제 활동이 통상적 방법으로는 더 이상 실효를 거둘 수 없게 되었음을 뜻한다. 이런 배경하에서 그간 별개의 영역으로 간주되어온 3개 영역, 즉 재난과 긴급 상황에 대처하는 인도적 구호 활동, 장기적 개발 협력 활동, 그리고 지속가능 평화 구축 활동이 좀 더 긴밀하게 협력해야 한다는 ‘인도주의‐개발‐평화의 삼중 연계Triple Nexus’ 아이디어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