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해의식의 심리학 - 피해자의 역할에서 벗어나는 법
야야 헤릅스트 지음, 이노은 옮김 / 양문 / 2005년 11월
평점 :
니체라했나? 어쨌던 이름난 철학자가 인간을 /낯선 시간과 공간에 내던져진 나약한 존재/라 했단다. 파도가 왜 하루종일 나를 덤비고 할퀴는지 갯바위는 모른다. 그것도 규칙적으로 몰려왔다 몰려갔다 하면서...모래알은 어떨까? 신비롭고 경이롭지만 연어는 자신들이 왜 그러는지 알까? 우리는 알고 있나? 그래 그걸 다 알수도 없고 알 필요가 없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자신의 마음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알아야 하지않을까? 이 책은 불안이나 공포, 의식 무의식같은 중심주제나 트렌드처럼 떠도는 여덟살심리, 가족심리, 여성심리라는 일정 세대나 틀의 특정 심리 보다는 약간은 낯선 피해의식이라는 단 하나의 키워드를 쥐고 문제를 풀어간다. 팔목, 발목, 길목의 목이 무언가 모이는 결정적 장소라면 심리학의 목은 피해의식이라는 듯이.
개인적인 체험에서 느끼는 상처를 입었다는 느낌. 파편처럼 튀어오르는 수치심 분노. 그 파편을 모으면 모을수록 뚜렷해지는 상실감 열등감. 가해자에 대한 분노. 피해자로서의 자신을 인정하고 행동을 합리화하는 과정. 이제 돌아간다 내 마음의 물레방아. 원래 물레방아는 저런 것이야. 하염없이....구성진 유행가까지 불러가며
인간이 나약한 존재란 무엇일까? 이 책을 심리학공력증강용이 아닌 내 마음의 진통소염제로 읽은 나로서는 /나약하다는 것/이 /제 마음도 모르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내 마음에 왜 이런 파도가 들이지치는지? 잦아들기는 커녕 더 자주 나를 때리는지? 궁리하고 있는 이들에게는 도움이 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