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을 읽는 시간
이유진 지음 / 오티움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 말, 안타까운 소식을 전해들었다. <사기병>의 저자 윤지회 님의 작고 소식이었다.
그녀의 암이 재발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마음 한 켠으로는 어쩌면 언젠가 그런 소식을 듣게 될지도 모른다는 걸 알고 있었던 것 같다.
그럼에도 막상 소식을 접했을 땐 눈물이 울컥, 마음이 무거웠다. 그녀에게 우리 큰 아이 또래의 아들이 있다는 걸 알아서 더 그랬던 것 같다. 그 아이를 생각하면 또 가슴이 아프고 혹시나 내게도 생길지 모르는 일이라 생각하면 마음이 어지러웠다.
그녀의 죽음 이후로 나도 이따금 죽음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특히나 자식을 두고 떠나는 엄마로서의 그것에 대해.

그러다 이 책 <죽음을 읽는 시간>을 만났다.

[죽어가는 과정도 삶의 일부다. 그러니 죽어가는 과정도 살 만해야 한다. -이유진, 죽음을 읽는 시간-]

이 책의 저자 이유진은 우리나라에서 정신과 전문의로 지내다가 미국으로 건너가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가가 된 사람이다.
호스피스란, 죽음을 앞둔 말기환자들이 조금은 더 평안하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돌보는 일을 뜻한다. 그녀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의로 근무하며 마주했던 환자들의 사례들을 바탕으로 삶과 죽음에 대해 이야기 한다.
호스피스 병동의 환자들이 육체적인 부분에 좀 더 도움이 필요할 것이라 여겼던 나의 생각과 다르게 실제로는 많은 부분이 정신적인 마무리 과정에 더 가까운 것 같았다. (돌이켜 생각하면 그게 너무나 당연한 게 아닌가 싶다.)

[끝이 있음을 아는 것은 인생의 모든 순간을 약간의 슬픔으로 물들여놓는다. 행복한 지금 이 순간도 언젠가는 끝날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 우리의 시간은 더 열렬히 반짝여야 한다.
-이유진, 죽음을 읽는 시간-]

실제 죽음을 앞둔 이들의 심정을 내가 눈곱만큼이라도 이해할 수 있겠느냐만, 이 책을 읽으며 나도 마지막 이별의 순간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았다.
좀 더 건강한 이별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마지막 순간에 조금 더 담담해지려면, 나는 어떠한 삶을 살아야 할 것인가.

내 나이도 이제 마흔을 향해 달려가고, 때때로 주변에서 안타까운 소식도 듣게 된다. 아, 나도 나이를 먹는 구나, 싶은 순간들이다.
"나는 인생을 축제처럼 살기 위해 죽음을 공부하기로 했다."는 저자의 말처럼, 우리는 좀 더 나은 삶을 위하여 죽음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우리는 다른 누구보다도 나 자신에게 먼저 귀 기울이고 나의 본모습을 읽어낼 줄 알아야 한다. 나를 알아야 나를 행복하게 하는 법도 배워갈 수 있다. 내가 행복해야 타인도 행복하게 해줄 수 있다. 나를 억누르고 지워가며 사는 삶인지, 나를 알아차리고 있는 그대로의 본모습을 가꿔가는 삶인지 뒤돌아보며 살아야 한다.
삶의 모든 순간에서, 타인이 아니라 내가 먼저다.
-이유진, 죽음을 읽는 시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