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와 편견의 세계사
헨드릭 빌렘 반 룬 지음, 김희숙.정보라 옮김 / 생각의길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관용과 불관용에 대한 이야기

 

 무지와 편견의 세계사(헨드릭 빌렘 반 룬 지음 / 김희숙·정보라 옮김 / 생각의길 펴냄 )는 관용과 불관용이 인류사에 끼친 영향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처음 무지와 편견의 세계사라는 책의 제목을 보고 세계사를 색다른 관점에서 풀어나가는 책이라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책을 펴는 순간 나의 생각과는 다른 전개에 조금 당황했다. 내가 기대했던 재미있는 역사보다는 기독교라는 종교의 불관용에 대한 이야기로 가득했다.

 

 이 책은 어떻게 보면 종교에 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종교라는 것이 얼마나 사람과 사상을 탄압하고 가두어 두었는지를 확실하게 알 수 있었다. 역사라는 것이 한 종교의 불관용의 사상 속에서 발전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불관용이라는 장애물 앞에서 사람들은 탄압받고 쓰러졌다. 그러나 인간은 위대했다. 그런 불관용 속에서 살아남고, 관용을 이끌어 낸 것이다. 우리에게 관용이라는 것이 더 많이 존재했다면 세상은 더 발전하고 아름다워졌을 것이다.

 

 이 책에서 가장 인상적인 것을 꼽으라고 한다면 사적인 불관용공적인 불관용에 대한 이야기이다. 중세시대를 비롯한 과거에는 공적인 불관용으로 편견과 차별을 했다. 그러나 지금은 공적 보다는 사적영역으로서의 차별이 진행되고 있다. 지금 우리의 현실은 어떠한가? 중세와는 다른 사상의 자유가 보장되는 지금, 우리는 관용의 시대를 살고 있는가? 이 책을 다 읽고 난 후 나에게는 이런 의문이 생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