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 시스터즈 키퍼
조디 피코 지음, 이지민 옮김, 한정우 감수 / SISO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판 솔로몬의 재판....정답은 무엇일까??

 

 마이 시스터즈 키퍼( 조디 피코 지음 / 이지민 옮김 / siso 펴냄 )는 신장 기증을 둘러싼 엄마와 딸, 그리고 가족의 이야기이다. 제목이나 표지에서 예상하다시피 두 자매 중 한명은 기증자이고 한명은 수혜자이다. 사라와 브라이언 부부는 아들 제시와 딸 케이트와 행복한 가정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케이트가 급성전골수세표성백혈병이으로 쓰러진다. 그리고 케이트의 치료 상의 이유로 임신을 하게 된다. 그렇게 해서 태어난 아이가 안나이다. 13년이 흐른 후, 안나가 신장 이식을 거부하는 소송을 제기 하면서 이 소설은 시작된다.

 

이것은 솔로몬의 선택입니다, 재판장님. 저에게 아이를 반으로 가르길 요청하고 계시진 않지만 한 가족을 갈라놓으라고 요청하고 계시는 겁니다.”

 

 이 책을 다 읽고 난 후, 아니 읽는 중간 중간 가슴이 먹먹하고 아팠다. 엄마 사라가 이해되면서도 이해 할 수 없는 기묘한 감정...... 두 아이 중 어느 아이도 포기 할 수 없지만 아픈 아이를 더 챙기는 그녀의 마음이 이해되었다. 그리고 상처 받는 다른 아이 제시와 안나의 모습은 마음이 아팠다. 한 가정에 아픈 아이가 존재함으로써 전개되는 가정의 해체는 머라 표현할 수 없는 슬픔이었다. 누구의 잘못도 아닌 이 상황을 어찌해야할지. 그리고 재판이 진행되며 밝혀지는 내용들은 충격적이고 마음이 아팠다.

 

바뀌지 않는 건 단 하나다, “10년 후에도, 내가 말한다. 전 언니의 동생이고 싶어요.”

 

 각각의 인물들의 시점에서 서술되는 소설의 구조는 특이하고 그들의 생각과 입장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어 좋았다. 약간의 아쉬움이 있다면 케이트의 시점이 없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책을 읽는 중간중간 이 사건의 원인 제공자인 그녀의 생각이 궁금해졌다. 하지만 책을 다 읽고 난 후 그 이유를 이해 할 수 있었다. 최악의 상황과 최악의 부모, 그리고 안타까운 아이들을 보며 읽는 내내 마음이 아팠던 소설이었다. 과연 나라면 저 상황에서 어찌 했을까 하는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그리고 결코 저런 일이 나에게는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하였다. 약간은 충격적이었던 결말......예상하지 못했던 결말이라고 해야할 것 같다. 하지만 결국 작가는 가족은 결코 나뉠 수 없다는 것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었나 조심스레 생각해본다.

 

부모를 읽은 아이, 남편을 잃은 아내를 일컫는 단어는 있지만, 아이를 잃은 부모를 뜻하는 단어는 없다.



이것은 솔로몬의 선택입니다, 재판장님. 저에게 아이를 반으로 가르길 요청하고 계시진 않지만 한 가족을 갈라놓으라고 요청하고 계시는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