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침이 온다
츠지무라 미즈키 지음, 이정민 옮김 / 몽실북스 / 2017년 11월
평점 :
우리에게 아침이란.......
아침이 온다(츠지무라 미즈키 장편소설 / 이정민 옮김 / 몽실북스 펴냄)는 불임으로 고통 받던 한 부부가 아이를 입양하고 그 후에 일어나는 일을 다룬 이야기이다. 흔히 아침이란 말은 무언가를 시작하고 희망을 주는 단어이다. 누구에게나 오는 아침이란 말이 이 책에서는 어떤 의미일지 궁금해졌다. 이 책 표지에 나와 있는 바다와 하늘 그리고 아이의 모습..... 책을 읽을수록 그 의미를 알게 되고 마음이 아팠다.
이 책의 주인공 사토코부부(기요카즈와 아사미)는 불임으로 고통 받는 삶을 살고 있었다. 그러던 중 TV 프로를 보고 입양을 결심하게 된다. 베이비배턴이라는 곳을 통해 양자결연을 맺고 아사토를 입양한 후 키운다. 그리고 6년 후 갑작스러운 전화를 받고 이야기는 전개된다.
“아이를 돌려주세여.”
여기까지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그리고 결론을 짐작하게 만드는 스토리이다. 하지만 이 책은 우리가 상상했던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이야기를 전개한다.
양부모와 생모의 양육권 다툼과 소송이라는 진흙탕 싸움은 전개되지 않는다. 대신 양모 아시미와 생모 히카리의 각기 다른 시각, 혹은 입장에서 이야기는 서술되어 간다. 두 다른 시선의 이야기가 담담하고 군더더기 없이 진행되어 읽는 독자의 입장에서는 이해가 가고 공감이 된다. 내가 아이를 키우고 있어서 인지 아사미의 키운 정과 히카리의 낳은 정 모두 이해가 되었다. 그리고 아사토의 마음을 배려하는 두 엄마의 모습에 가슴이 아렸다.
가족....진정한 가족의 의미란 무엇일까?? 이 책에서도 나왔듯이 혈연으로 맺어진 가족이 어떨 때는 남보다 더한 상처와 아픔을 주고 있는 경우가 있다. 불임의 고통을 겪는 아사토 부부, 그리고 부모와의 삶 속에서 안정을 얻지 못하고 일탈하게 되는 히카리를 보면서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주는 상처의 고통을 보았다. 그리고 고민하게 되었다. 나는 과연 좋은 자식, 부모인지를..... 잘은 모르겠다. 하지만 이 책에서 마지막 아사미가 보여준 이해라는 그 무언의 믿음, 그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다.
책을 읽는 순간순간 가슴이 많이 아팠다. 그들의 삶이 이해가고, 그렇게 행동 할 수 밖에 없는 히카리의 어리석음에 화도 났다. 그 어리석음을 꾸짖고 고치려고만 하던 또 다른 그들에게도 화가 났다. 하지만 화를 낸다고 달라지는 건 없었다. 그냥 포근히 안아주고 믿어주는 그것이었으면 되었을 것을.....
나는 믿는다.
기요카즈, 아사미, 아사토 그리고 히카리 그들의 아침은 반드시 온다는 것을!!!

도망칠 일도, 키울 일도, 아이의 생일을 축하할 일도 없는 대신 똑똑히 기억하자. 아이와 오늘 눈부시게 아름다운 하늘을 봤다는 것을. 둘이가 하나인 우리가 함께 봤던 하늘을, 아무에게도 방해받지 않은 이 시간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