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유미술관 - 아픔은 어떻게 명화가 되었나?
김소울 지음 / 일리 / 2019년 10월
평점 :
절판


다른 시각으로 명화를 만나다

 

 치유미술관( 김소울 지음 / 일리 출판사 )은 우리에게 약간은 문제(?) 화가들로 알려져 있는 화가들과 그들의 작품을 만나는 시간이다. 처음 제목을 보고, 미술작품을 보며 심리 치유를 하는 내용으로 알고 이 책을 선택했다. 표지와 책 속에 있는 명화들은 그 선택에 한몫했다. 하지만 책을 펴고 보니 약간은 다른 점이 보였다. 이 책은 우리에게 15명의 작가와 그들의 작품을 소개한다. 그렇다고 이 책이 작품집은 아니다. 시대와 배경은 다르지만, 그들은 소울마음연구소라는 가상의 공간으로 심리 상담을 온다. 그들은 그들의 아픔과 고뇌를 닥터소울에게 상담하고, 그림으로써 그것을 치유한다.

 


 15명의 작가들은 시대와 장소를 초월한 유명 작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들의 작품은 우리에게 많은 감동과 여운을 준다. 하지만 우리는 그들의 마음 속 고뇌와 아픔을 우리는 알지 못한다. 여기 15인의 작가들은 닥터소울을 만나 자기의 아픔을 이야기하고, 그림을 통해 그 아픔을 승화한다. 소재와 구성이 독특한 이 책은 읽는 내내 마음이 따뜻했다. 그리고 작가들의 내면을 알고 작품을 보니 그 작품에 대한 감회가 새로웠다. 미술에 대한 이런 접근이라니, 너무나 놀랍고 신기하다.

 

이 책의 15인의 작가를 소개한다!!

뭉크, 클로델, 로트렉, 드가, 마네

모리조, 르누아르, 모네, 세잔, 젠틸레스키

고갱, 고흐, 칼로 , 실레, 고야

 

 교과서 등에서 만나본 분도 계시고, 처음이야~ 이 런 분도 계신다. 하지만, 이 소울마음연구소를 찾는 그들은 각각의 아픔과 상처를 가지고 있다. 그들은 그림으로 그것들을 극복하고, 어쩌면 극복하지 못한다. 이렇듯 이 책은 우리가 어렵게만 느껴왔던 미술작품, 명화를 다른 시각으로 보게 만들어준다. 그림에 대한 쉬운 설명과 또, 아름다운 그림은 이 책을 더더욱 품격 있는 책으로 만들어주고 있다. 자신의 내면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또 그 그림으로써 치유를 하는 이들, 그리고 우리는 그 그림으로 감동과 환희를 느낀다. 이 책은 미술은 우리에게 충분히 치유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나도 그것을 믿게 되었다. 이제 미술작품을 볼 때 조금은 다른 시각으로 그들을 바라볼 수 있게 된 것 같다. 미술을 보는 다른 시각을 갖게 해 준 이 책~ 참 고맙다. 나에게 올해 최고의 책이라고 기억 될 듯하다.


 

제가 가지고 있는 두려움이

그림으로 옮겨지고 나니까

한결 가벼워진 기분이 들어요.



그게 바로 미술의 힘이에요.

막연한 두려움만큼 공포스러운 것도 없거든요.

그걸 눈앞 종이에 옮기고 나면

두려움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어요.

그리고 나면 막연함이 좀 줄어들죠.

-p3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