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번역의 정석
이정서 지음 / 새움 / 2018년 7월
평점 :
절판
직역과 의역!!! 진정한 번역이란?
번역의 정석( 이정서 지음 / 새움 펴냄)은 제목그대로 번역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말하고 있다. ‘수학의 정석’은 많이 접해봤지만 ‘번역의 정석’이라...... 제목을 보자마자, 그리고 표지를 보자마자 왠지 끌렸다. 표지의 사진은 헤밍웨이인거 같은데, 표지 참 멋지다. 번역에 대한 방법을 가르쳐주는 책인가?? 궁금증을 유발하는 표지와 제목, 참 센스 있다.
이 책은 ‘이정서’라는 번역가가 가지고 있는 번역에 대한 생각과 우리나라 번역의 문제점을 말하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며 의역과 직역에 대하여 정확히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우리가 읽고 있던 많은 책들이 의역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책을 선택할 때 번역이 잘 된 책을 선택하려고 많이 고민한다. 번역에 대한 중요성은 특히나 아이들의 동화책을 선택할 때 많이 느끼고 있는 부분이다. 같은 명작동화라도 어떤 출판사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느낌이 많이 달랐다.
얼마 전 독서모임에서 ‘프랑케슈타인’이라는 책을 읽기로 했다. 책을 구입해야 하는데 많은 출판사의 책들이 있었다. 각각의 출판사마다 특색이 있었다. 읽기 편한 책, 직역한 책, 원작을 많이 살린 책 등등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이 되었다. 회원들과 서로 많은 이야기를 나누웠고, 그 결과 나의 선택은 원작을 되도록 많이 살린 책이었다. 왜 나는 그런 선택을 했을까? 읽기 편한 책보다는 원작의 느낌을 그대로 살리는 책을 읽고 싶은 생각이 많아서였다.
너무나 어려웠던 이방인, 그리고 왜 위대한지 몰랐던 개츠비가 번역에 문제가 있었던 거라는 작가의 생각은 놀라웠다. 읽어보니 그럴 것도 같기도 했다. 이 책을 읽으며, ‘어린왕자’, ‘이방인’, ‘노인과 바다’, ‘위대한 개츠비’의 번역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전에 내가 읽었던 번역서들과 작가의 번역책이 많이 다름을 알고 약간은 궁금했다. 결론은 이 책의 저자가 번역한 책들을 다시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특히나 내가 좋아하는 ‘어린왕자’는 꼭 읽어봐야겠다. 직역했다는 책은 어떤 느낌일지, 내가 그동안 읽었던 책과는 어떻게 다를지 많이 궁금하다.
이 책을 읽고, 번역이라는 것에 대해 많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번역에 대한 나의 생각은 그 작품의 느낌이나 감정, 그리고 작가가 드러내고자 했던 생각들은 잘 표현했으면 한다. 그리고 우리 아이들이 오역한 책들을 읽으며 자라나지 않기를 바란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827/pimg_7944971601992083.jpg)
"분명하게 쓰는 사람들에게는 독자가 따른다.
난해하게 쓰는 사람들에게는 주석자가 따르고,"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옮긴다는 점에서 모든 번역은 기본적으로 ‘의역’이기 때문이다. 모든 번역은 그 바탕하에서 ‘직역’이 되어야 한다. 여기서 직역의 의미는 곧 작가의 문체를 최대한 살려서 그 뜻을 ‘가능한’ 정확히 새기는 것을 말한다. 작가가 실제로 쓴 부사, 형용사, 쉼표, 마침표, 접속사 등을 더하거나 빼지 말고 딱 그만큼만 써야하는 것은 물론 대명사조차 가능한 원래대로 지키며 새로운 언어의 문장으로 살려 낼 수 있을 때 그것이 좋은 번역일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저자의 말 중에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