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버둥치다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68
박하령 지음 / 자음과모음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코다(CODA)이다.

 

 발버둥치다(박하령 장편소설 / 자음과모음 펴냄)는 청각장애인 부모를 가진 유나의 이야기이다. 유나는 코다이다. 코다(CODA)‘Children Of Deaf Adult’의 약자로 청각 장애 부모를 둔 비장애인 자녀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 책을 보면서 처음 알게 된 단어이다. 장애를 가진 부모를 둔 아이의 아픔이 이 책의 처음부터 절절히 나와 있다. 학교 대표로 토론 대회에 나가게 된 유나는 엄마가 응원 온 것을 알고 대회장을 뛰쳐나온다. 남자친구에게 엄마가 청각장애인인 것을 알리기 싫어서였다. 이해할 수 있으면서도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었다.

 

 토론장에서의 행동을 부끄러워하면서도 이해 받기를 바라며 친구 주은에게 고민을 얘기한다. 하지만 주은은 이해하지 못하고, 둘은 껄끄러운 사이가 된다. 이 책은 청각 장애를 가진 부모를 둔 비장애인 유나의 성장기이다. 유나는 부모의 존재를 남자친구에게 숨기고, 그것을 들키지 않기 위해 또 다른 거짓된 행동을 하게 된다. 많이 갑갑하고 마음이 아팠다. 부모님과 제대로 소통이 되지 않아 점점 힘들어하는 유나........ 하지만 점점 성장하는 유나의 모습을 이 책은 우리에게 보여준다.

 

 처음에는 유나의 행동이 과하지 않나 싶었다. 하지만 무성의한 어른들의 말 한마디에 상처받고, 다른 사람의 시선을 신경 쓰는 사춘기 소녀의 마음을 알기에 유나의 행동이 이해가 되었다. “벽을 관통하는 중이라고 생각하라는 이모의 말처럼 유나는 하나의 성장을 위한 단계를 밟아가고 있는 것 같다. 이 책들 다 읽고 발버둥치다의 의미를 알게 되었다. 많은 아픔과 오해가 있었지만, 그것을 이겨내고 성장해 나가는 유나의 모습을 보며 가슴이 뿌듯했다. 가족이라는 굴레가 나를 옥죄이고 힘들게 하지만, 결국은 그 가족이라는 품안에서 사랑은 있다는 것을 이 책은 보여주고 있다.

 




"난 발버둥친다. 아름다운 발버둥이다.
문밖에서 기다리는 미래를 위한 몸짓이므로, 세상의 모든 발버둥은 아름답고 의연하고 경건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