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페르시아어 수업
마리암 마지디 지음, 김도연.이선화 옮김 / 달콤한책 / 2018년 3월
평점 :
품절


두 서로 다른 문화.......그리고 정체성 찾기

 

 나의 페르시아어 수업(마리암 마지디 장편소설 / 김도연·이선화 옮김 / 달콤한 책 펴냄)은 이란에서 태어나 프랑스에서 자란 작가의 자전적 소설이다. 마리암은 6살 때 부모님을 따라 이란에서 프랑스로 망명한다. 프랑스인이면서 이란인인 작가 소개를 읽으면서부터 이 책이 궁금했다. 신비한 아라비안나이트의 재미난 이야기를 들려줄 것만 같았다. 그러나 이 책은 재미난 이야기책이 아닌 한 어린 소녀의 정체성 찾기, 뿌리 찾기의 이야기였다. 책을 펴고 목차를 살펴보았다. 목차는 첫 번째 탄생, 두 번째 탄생, 세 번째 탄생으로 나뉘어져 있다. 첫 번째 탄생은 마리암의 부모님의 이야기와 그녀의 어릴 적 이야기기로 전개된다. 두 번째 탄생은 본격적으로 프랑스에서의 이야기, 세 번째 탄생은 어른이 되고 정체성을 찾고자하는 작가의 모습이 그려진다. 처음에는 이 목차에 의미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책을 다 읽고 나서 어렴풋이 탄생의 이유를 알 수 있었다.


 이 책을 통해 이란에 정치 상황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민주화 과정이 많이 생각났다. 그리고 그들의 투쟁은 끝난 것이 아니라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책에 나와 있는 이란과 이슬람의 문화는 지금까지 내가 알고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나에게 알려주었다. 그리고 이슬람, 특히 이란이라는 나라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났다. 마리암은 어린 망명자로써 두 문화 사이에서 많은 고민을 한다. 남들은 두 문화를 다 체험하고 있으니 좋다고 생각하지만, 그녀는 어느 쪽에도 속하지 못하는 자신의 위치를 힘들어한다. 어느 곳에도 뿌리 내리지 못하는 망명자의 슬픔을 그녀는 담담하고 아름다운 어조로 표현하고 있다.

 

 아버지가 어릴 때 가르치려던 페르시아어, 그녀는 그것을 배우기를 거부했다. 그러나 결국엔 어른이 되어 페르시아어를 배우기로 결심한다. 그녀의 뿌리 찾기가 시작된 것이다. 프랑스인이면서 이란인인 작가의 책은 신비하고 독특했다. 두 문화의 적절한 조화가 책 곳곳에 나타나 있다. 책에서도 언급했듯이 그녀는 자신의 이런 이중적인 모습을 알고 있다.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고 자신의 모습을 찾아가는 작가의 모습을 보며 그녀를 응원하는 나를 발견했다. 이 책의 전반적인 느낌은 신비하고 독특하다라는 것이다. 이란과 프랑스의 적절한 조화는 책을 읽는 내내 두 문화의 차이와 공통점을 느끼게 했다. 그 이질적인 느낌은 작가의 다른 책이 출간 된다면 꼭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

 




"소녀는 그때를 회상하며 후회한다.

가끔은 그때 아버지의 언어를 배우려고 노력했더라면

아버지도 이곳 학교의 언어를 배우려 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회한은 잔인하게 귀에 대고 속삭인다.

그건 절대 알 수 없어.

지금은 너무 늦었으니까. 라고.



불꽃같은 밀밭 한 가운데 서 있는 아버지를 본다.

아버지는 땅을 일군다.

소녀는 영원히 나무로 변한 아버지를 상상한다.

나무가 된 아버지의 발치에 앉아 껍질을 어루만진다.

그리고 아버지에게.

이제는 그녀만이 말할 수 있는 언어로 이런저런 소소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